* 개요/ 역학
‣ 폐암 : 폐를 구성하는 조직의 상피세포에서 기원한 암세포가 증식하여 발생
‣ 원발성 폐암: 폐 내에 한정되어 발견
‣ 전이성 폐암: 반대쪽 폐, 타 장기로 전이된 경우
* 병리조직학적 분류
① 소세포성 폐암 (20%) : 악성 / 절제가 불가능해 수술이 어렵고 악화가 빠름 / 항암이나 방사선 요법에 반응성이 좋음
② 비소세포성 폐암 (80%) : 선암 / 편평상피세포암 / 대세포암 / 소세포성 폐암에 비해 조기진단 가능, 완치비율 높음
비소세포 폐암 (느린성장, 긴분화) |
편평상피세포암 | 중심형, 기관지를 막기 때문에 기침,객혈.천명 나타남 객담세포진 검사로 진단되는 경우 많음 bevacizumab(혈관신생억제 치료제)은 사망 사건이 발생되어 사용 금기 |
선암 | 선세포에서 기원, 폐암 가운데 발생빈도 가장 높음, 젊은 층에서도 잘 발병 크기가 작은 기관지에 생기는 부분 말초형 병소가 작은 시기에도 원격전이를 흔히 일으키나 다른 폐암보다는 서서히 성장 |
|
대세포암 | 치료가 어렵고 뇌전이가 흔하며 예후 나쁜편 | |
소세포 폐암 |
폐 중심부의 큰 기관지에 기원하는 부분 중심형 급속히 성장하여 조기전이 일으키므로 수술적 절제보다는 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 신경분비적 특성인 각종 부종양성 증후군을 잘 일으킴 |
* 병리와 병인
① 흡연 (폐암의 가장 흔한 위험인자) ② 직업적 노출 ③ 유전적 요인
* 임상증상
‣ 초기에는 증상이 없거나 감기와 유사
① 폐 근처 : 호흡곤란, 기침, 객혈, 흉통
② 전이부위 근처 : 목쉼, 연하곤란, 뇌전이로 인한 두통, 오심구토, 어지러움, 뼈전이로 인한 뼈통증, 골절, 하지마비
③ 원발암, 전이 장소 외에서의 증상 : 부종양성 증후군
- 내분비계 : 쿠싱증후군, 항이뇨호르몬부적절분비증후군(SIADH, 이뇨작용X, 소세포폐암에서 흔함),
고칼슘혈증, 저나트륨혈증, 고칼슘혈증, 고알도스테론혈증
- 신경계 : 이튼람버트근무력증후군, 부종양성소뇌변성증
- 피부점막계 : 흑색표피종, 피부근염
- 혈액계 : 혈전증, 빈혈
- 기타 : 곤봉지 (clubbing)
* 선별/진단
① 일반 진단검사
② 병리조직학적 검사 : 객담도말검사, 세침흡인 세포검사(멀리 있는 폐종양 검사 시), 조직검사
③ 분자생물학적 검사
* 병기(stage)의 판정
① 적절한 치료방침을 결정 ② 치료에 대한 반응성을 판단 ③ 환자의 예후를 예측
‣ 해부학적 병기: 종양의 위치에 따른 TNM 병기판정으로 ⅠA ~ Ⅵ 까지 7가지 병기로 나뉨
‣ 생리학적 병기: 환자의 심폐기능 등 항암치료에 견딜 수 있는지 평가
비소세포 폐암 |
- TNM 병기체계를 사용하여 T0~T4 / N0~N3 / M0, M1a/b 로 분류 - 5년 생존률 차이에 따라 7개 병기로 분류 - M 병기판정을 위해서는 신체검진, 골스캔, 뇌CT 촬영 및 PET/CT 검사 등이 필요 - 뼈,뇌,간,부신 등으로 전이를 잘하므로 검사가 필요 - 뼈에 통증 / alkaline phosphatase 증가 / 고칼슘혈증 나타나는 경우-> 골전이 확인 위해 골스캔 - 뇌전이 여부 확인 시에는 뇌 CT 또는 뇌 자기공명영상을 촬영 |
|
소세포 폐암 |
제한병기 :방사선 치료 가능 |
stage 1~3 / T3~4 제외 한쪽 폐에 국한된 경우 |
확장병기 :방사선 치료 어렵 |
stage 4 / T3~4 암이 반대편 방향이나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경우 (뇌전이 흔함) |
* 치료
① 외과적 절제술 (수술)
- 병기 1,2기의 경우 완치를 기대할 수 있음
② 방사선 요법
- 신체적 접촉 없이 방사선을 조사하는 외부방사선치료와 동위원소를 몸속으로 주입하는 근접방사선치료
- 비소세포성 폐암의 1~3기에서 사용하며, 재발 또는 전이성 폐암의 경우 증상 완화를 위해 고식적 요법으로 사용
- 방사선을 한번에 조사하면 부작용이 커지므로 소량으로, 수주에 걸쳐 나누어 조사하는 분할치료법을 주로 채택
③ 전신적인 치료 (항암화학요법)
‣ 항암화학요법은 [cisplatin, carboplatin] 같은 백금화합물에 [etoposide, doxorubicin, docetaxel, cyclophophamide, vincristine]
등을 병합한 2제 약물요법이 가장 많이 사용됨
‣ 표적치료제 : EGFR억제제, VEGF억제제, ALK억제제 등은 비소세포성 폐암 치료에 효과
* 약물요법 (표 참조)
① 항암화학요법
② 표적항암요법
③ 면역요법
* 비소세포성 폐암의 치료
‣ 치료법은 ① 폐암의 병기 ② 동반질환 ③ 활동지수(PS)를 고려하여 결정
‣ 비교적 천천히 진행하므로 조기 진단 시 수술요법으로 완치 기대
① 외과적 절제가 가능한 경우
- stage 0 : 간단한 수술로 근치 가능,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요법은 필요하지 않음
- stageⅠA, ⅠB : 수술적 요법 가능하나 불가능한 경우 방사선 요법 수행하기도 함
- stageⅡ: 수술요법의 주 적응증, 선행 항암화학요법 시 수술부위를 줄이고 미세전이 예방이 가능하므로 강력 권장됨
- stage ⅢA : T1~3, N2 상태 (종격동 림프절 양성) 환자의 경우, 종격동 림프절 병리소견에 준하여 치료
② 다발성 폐암
- 확립된 치료요법은 없고 환자의 상태를 고려한 합리적 방법 요구
③ 외과적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 (stage ⅢB)
- T1~3, N3 상태인 경우, 수술을 권하지 않으나 림프절 상태 확인 후 결정하도록 함
- T4, N2~3 상태인 경우, 수술절 절제술을 추천하지 않음
④ 말기 비소세포성 폐암 (stage Ⅳ)
- 이미 전이가 일어난 후로, 흉막 또는 심낭막삼출 (폐,심장 기능 상실)이 stage Ⅳ, M1 병기 판단의 기준
- 부신까지 전이된 경우가 흔함
- 증상완화에 주력, 추가적 전이를 막고 호흡안정화를 위한 치료 수행
- 전이가 일어난 상태이므로 표적항암요법이 추천됨
⑤ 유지요법
‣ 계속 유지요법
- 1차 요법 약물 가운데 최소 1가지 이상의 약물을 포함하여 사용하는 경우
- 처음 시작했던 약을 계속 투여하되 부작용이나 병 진행에 이상이 있을 때까지 계속함
‣ 스위치 유지요법
- 1차 요법에서 사용하지 않았던 약물로 유지요법을 시작하는 경우
- 1차 요법에서 사용한 약물이 효과가 없을 때 사용
⑥ 재발성 및 원격 전이성 폐암
‣ 국소 영역 재발 / 원격 전이성 재발
‣ 표적항암요법이 추천되며, 전신요법 수행
‣ 골전이가 된 경우에는 denosumab 또는 IV bisphosphonate 제제가 고려됨
‣ 비편평상피성 폐암환자는 EGFR 검사 및 ALK 검사를 하도록 함
‣ 재발/전이성의 경우 표적약물요법은 가끔 2제 요법에 추가하기도 함
(그림38-5)
‣ mutation이 없는 경우는 백금화제를 기반으로 한 2제 요법을 사용하고 Bevacizumab 병용을 고려해볼 수 있으며,
효과가 없다면 면역요법이 고려됨
* 소세포성 폐암의 치료
‣ 소세포성 폐암은 세포분열 속도가 매우 빨라, 진단시점에 이미 확장병기로 판단되는 경우가 많음
‣ 대게는 수술이 불가능하지만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치료에 매우 반응이 좋음 (초기 병기에서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감수성이 우수)
‣ 완전 반응(관해)을 보인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6-8개월 이내에 재발
① 1차 항암화학요법
‣ 초기라 할지라도 전신요법인 항암화학요법을 필수
‣ 반드시 수술 후 보조 항암요법을 실시하며, 입증된 항암제의 종류가 아주 제한적인 편
‣ Etoposide 및 cisplatin의 2제 요법 (EP요법) 이 가장 흔한 처방
‣ EP요법과 흉부 방사선 병렬 치료가 현재는 제한병기 환자에게 추천
‣ 확장병기 환자는 irinotecan 등을 사용할 수 있음
‣ 골수성장인자를 사용하는 것은 추천되지 않음
‣ cisplatin에 의한 구토, 신경염 등을 줄이기 위해 carboplatin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많으나
carboplatin의 골수억제 부작용을 피하기 어려움
‣ 사이토카인 제제는 골수억제 효과를 경감시키고 열성 호중구 감소증 발현율을 줄이나, 화학요법 초기에
이러한 성장인자를 일괄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좋지 않음
② 2차 및 3차 후속요법
‣ 초기 치료에 대한 반응률이 높지만, 재발환자는 생존기간이 고작 4-5개월에 불과
‣ 재발성 또는 난치성 소세포성 폐암에 대한 2차 요법은 단일요법이 추천됨
1. 항암화학요법 (계속) |
‣ 수술 전 선행 항암화학요법 및 수술 후 보조요법 (표38-8) - Cisplatin을 기반으로 한 2제 요법을 총 4주기로 시행 - Cisplatin 불내성 환자 및 합병증 동반한 환자의 경우 -> Paclitaxel + Carboplatin을 투여 ‣ 방사선 요법와 병용 사용하는 항암화학요법 (표38-9) - 병렬형 Chemotherapy/RT : 2제 요법과 동시에 동시형 흉부 RT (radio thrapy) - 연속형 Chemotherapy/RT : 2제 요법 후 이어서 RT - 병렬형 Chemotherapy/RT, 이어서 Chemotherapy ; 섞어서 사용 |
2. 표적항암요법 | |||
‣ ~mab: 단일클론항체 (MABS) ‣ ~nib: Tyrosine kinase inhibitors, EGFR형 or ALK형 |
|||
분류 | 약물 | 작용기전 | 유의사항 |
종양 혈관 성장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 (혈관신생억제) |
Bevacizumab | ‣ 진행성 비소세포성 폐암치료에 사용 ‣ VEGF를 표적으로 하는 단일클론항체 |
‣ 다른 항암화학요법제와 병용 가능 ‣ 진행된 비편평상피성 폐암의 경우, paclitaxel+carboplatin 병용요법이 1차 선택제 ‣ Bevacizumab + chemotherapy 투여기준 ① 객혈의 최근이력이 없을 것 ② 활동지수 양호 ③ ALK나 EGFR mutation이 음성일 것 ‣ Ramucirumab + Docetaxel 병용요법 ① 백금화합물 기반 항암요법에 반응 없을 시 사용 ② 투여 관련 부작용 때문에 dexamethasone + acetaminophen 투여 권장 |
Ramucirumab | |||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 변이를 수반한 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 (EGFR 억제제) |
Cetuximab | ‣ EGFR을 표적으로 하는 단일클론항체 | |
erlotinib gefitinib afatinib |
‣ 진행성 비소세포성 폐암치료에 사용 | ‣ 다른 항암화학요법제와 병용하지 않고 단독 사용 ‣ afatinib은 2세대 EGFR TKI로 전이성 비소세포성 폐암의 1차 치료제 |
|
T790M mutation을 동반한 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EGFR 억제제 | Osimertinib | ‣ T790M 돌연변이에 대해서도 효과 | |
편평상피성 비소세포성 폐암에 사용하는 EGFR 억제제 | Necitumumab | ‣ 진행성 편평상피성 비소세포 폐암치료에 사용 | ‣ 다른 항암화학요법제와 병용 가능 |
ALK 유전자 변이세포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 | crizotinib ceritinib alectinib |
‣ 선암을 가진 비흡연환자들에게 흔히 발견 ‣ ALK 유전자 변이를 가진 폐암 환자 치료 |
‣ crizotinib : 1세대 ALK TKI ‣ ceritinib, alectinib : 2세대 ALK TKI |
3. 면역요법 | |||
‣ PD-1, PD-L1, CTLA-4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 | |||
Programmed cell death 1 (PD-1) 수용체 억제제 | Nivolumab Pembronizumab |
‣ 면역억제제 | ‣ EGFR 또는 ALK 양성 치료제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에 투여 ‣ 면역반응성 부작용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 중지 |
'약물치료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화성궤양, 위궤양에 대해 알아보자! (1) | 2021.09.06 |
---|---|
대장직장암 원인과 약물치료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8.05 |
위암 원인과 약물 치료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8.04 |
항암화학요법의 원칙 (0) | 2021.08.03 |
알레르기비염 (Allergic Rhinitis) 원인 약물치료 알아보기ㅠㅠ (0) | 2021.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