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치료학 공부 28

알츠하이머병에 대해 알아보자

알츠하이머병 I. 역학 알츠하이머병(AD) (신경퇴행성 질환) • 뇌세포의 점진적 파괴 à 인지능력, 행동, 정신기능 장애 à 치매 • 약물치료로 증상 경감 but 결국 사망(주로 폐렴에 의해) • 발병에서 사망까지 대개 4~6년 (길게는 15~20년까지 갈 수 있다)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 질환 • 치매 환자의 약 50%는 AD가 원인 • 그 외 혈관성 치매, Lewy 소체에 의한 치매, 전두엽 측두엽 위축에 의한 치매 Cf) 엄격히 말하면 알츠하이머는 노년이 되기 전에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치매 ⊃ 알츠하이머) 노인성 치매(노망, senile type of Alzheimer), 분류 • Early-onset AD (조발성 치매) (familial AD, 5%) : 65세 이전 발병, 유전..

뇌전증 (epilepsy)에 대해 알아보자

뇌전증 I. 개요 뇌전증(Epilepsy)의 정의: 뇌세포의 전기적 활동에 이상이 생겨 반복적 발작을 초래하는 신경계 질환 다양한 원인에 따라 임상적 특성 발생기전 및 예후가 다름, 뇌전증의 정도, 증상, 원인, 결과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류, 정확한 진단과 검사로 최적의 약물치료 비유발성발작: 급성 원인 없이 일어나는 간질성 발작 유발성발작: 급성 원인에 의한 급성 증후성 발작, 재발해도 뇌전증X 다음 3가지 중 하나에 해당 시 뇌전증 의심 (EEG검사로 진단- 비정상적으로 흥분이 되는지? 검사) 1) 24시간 이상 간격을 둔 비유발성 경련이 2회 이상 2) 비유발성 발작 1회 + 향후 10년 내 재발 가능성> 일반적 발작 발생률(60%) 3) 뇌전증 증후군 진단된 경우 2)에 향후 10년 내 재..

간경변증과 합병증

I. 간경변증의 개요 간경변증의 정의: 만성적 간손상에 대한 상처 치유/재생 과정에서 재생결절(regenerative nodules)과 진행성 간 섬유화가 진행된 상태 Healthy liver → Fibrotic liver(scar존재) → Cirrhotic liver(scar에 의해 blood flow 가 막혀 간이 딱딱하게 굳어감) → liver cancer II. 역학 국내에서는 간염이 요사망원인중 하나이며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이 발생 간경변증의 주요원인: B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간질환, 알코올성 간염, C형간염 주요 합병증 복수(물이 차는것),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정맥류 출혈, 간성뇌증 발생빈도: 복수> 정맥류 출혈> 간성뇌증 III. 병리와 병인 간섬유화(hepatic fibrosi..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에 대해 알아보자!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의 경우 염증성 장질환이라고 해서 IBD라고 합니다. 큰 틀에서 IBD로 보고 시작하겠습니다. I. 개요 하부 위장관계(소장, 대장, 직장 포함)에서 발생하는 특발성 만성 염증 질환 궤양성 대장염 (ulcerative colitis, UC) 대장(직장과 결장)에 국한되어 나타나는 점막 및 점막하부 염증(mucosal inflammation) 크론병 (Crohn’s disease, CD) 위장관 모든 부위(특히 회장이 주요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장관 점막의 경벽성 염증(transmural inflammation) Ÿ 구강~항문 위장관 전체에 발생 가능 위장관의 면역기능과 가장 큰 관련성/ 유전, 환경, 스트레스 등 정신적 요인 및 약물 등 복합적 작용으로 발병 주로 위장관에서 발..

항암 후의 역하고 구토 유발은 어떻게 제어할가?

오심과 구토에 영향을 주는 곳은 여러 곳입니다. 내장과 전정계 뇌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항암 후 구역 구토는 급성과 지연성으로 나뉨 24시간 이내인지, 24시간 이후에 발생하는지에 따라 분류를 하게 됩니다. 급성인 경우 증상이 가벼울 경우에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투여하게 되고 증상이 심할 경우 여러 다른 작용기전의 항구토제를 병용하게 됩니다. 첫날에는 먹는 구역 구토 방지제와 2~4일에 먹는 구역 구토제가 다른데요! 구토유발성 급성 CINV (첫째 날) 지연성 CINV (2일~4일) 최소 None None 경도 Dexamethasone None 중등도 Non-AC 화학요법 5-HT3 길항제 + dexamethasone 5-HT3 길항제 또는 dexamethasone (2일과 3일 투약)..

임산부의 입덧 원인은 무엇이고 어떤 약을 먹을가??

구토의 원인은 뇌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발생합니다. 임신으로 인한 입덧은 임신 초기에 호르몬과 대사과정의 변화로 인해서 발생을 하게 됩니다. 그러면 어떤 입덧에는 어떤 약을 써야할가요? 먼저, 비약물요법으로 입덧을 예방해보려는 노력을 해야합니다. -> 소량씩 자주 식사, 맵거나 기름진 음식 삼가, 고단백질 간식 섭취, 아침에 싱겁거나 자극성 없는 음식 섭취를 해봅니다 두번째로는 비타민제로 해결해보는 것입니다. 피리독신 (비타민 B6)를 10~25mg 하루 3~4회 단독으로 투여해 보고 안되면, doxylamine과 같은 항히스타민제와 병용을 해봅니다. 입덧이 너무 심하게 왔을 경우 metoclopramide가 효과적이며 기형유발과 관련이 적어 사용합니다. ondansetron은 중증 입덧에 사용이 되는데..

화장실 자꾸 가는 과민성대장증후군 어떻게 치료할가?

과민성대장증후군 개요 결장의 정상기능을 방해하는 위장관 장애로, 복통 혹은 복부 불편감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증후군 과민성대장증후군 원인 원인: 유전적, 스트레스, 심리적요인, 위장염, 특정 음식에 대한 과민반응 등 • 대장 내 상주균 구성이 비정상적으로 변하는 것이 일부 원인 • 정서적 고충과 강한 연계 “뇌-장 축(brain-gut axis)” 조절이상에 의해 발생 • 내장신경은 장관 평활근을 제어하며, 자율신경계에 의해 뇌와 연결 • 5-HT, acetylcholine, substance P, 산화질소 등 관여 • 5-HT3와 5-HT4 수용체는 장 운동성, 내장 민감도, 장 분비에 관여 - 5-HT3 길항제 (alosetron)는 중증 IBS-D(여성)에 사용 - 5-HT4 효능제 (prucal..

계속되는 설사 어떻게 치료할가?

설사의 특징 • 배변 빈도 증가 : 하루 3회 이상 • 변 무게 및 수분량 증가 : 하루 200~250 g 이상 묽은 변 • 대변 점도 감소 설사의 분류 1) 급성 설사 : 2주 이하 지속 2) 지속성 설사 : 15~30일 지속 3) 만성 설사 : 30일 이상 지속 설사 원인 1. 급성설사의 원인 감염성 설사 : 음식과 물 오염으로 인해 분변-구강 경로로 발생 • 바이러스 : rotavirus, Norwalk, adenovirus (급성 미열, 구토, 물변) • 세균 : E.coli, Salmonella, Shigella, Vibrio cholera, Clostridium difficile - 이질 : Shigella 감염에 의한 중증 혈변성 설사 (이질, 장티푸스, 콜레라) Cf) 구토, 물변, 혈변성..

변비 약물 치료는 어떻게 할가??

변비의 정의 : 배변 횟수 주당 3회 미만이거나 대변이 과도하게 딱딱, 소량이며 잔변감 또는 항문직장 폐쇄감이 있을때 기능성 변비 : 최소 3개월 이상 지속, 진단 시점 기준 6개월 전 증상 발현 전체 인구 20% / 약물과 질병과 연관 / 노인과 여성에서 빈번 소아의 경우 : 식사 또는 수분 섭취 변화 / 여행 등 배변 습관 변화(집 아니면 화장실 못 가는 사람), 고통으로 인한 배변 회피 임산부 50%가 경험을 한다. 이유는 3가지로 추측된다. Progesterone 증가 → 장근육 수축(호르몬 관련) 임신으로 인한 수분 재흡수 기전의 변화, 철분 보충제 섭취에 따른 변비가 일어난다. 변비 원인 1차적 원인 • 정상통과변비 : 특발성 또는 기능성 장애 포함 • 서행성 변비 : 운동성 장애 포함 • 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