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공부 16

눈 밑에 떨리고 다리 쥐 날때에는 마그네슘

쥐가 나고, 눈 밑이 떨리는 경우 원인부터 말하자면 마그네슘 부족하기 때문이다. 마그네슘이 왜 부족한 원인을 따지자면 스트레스, 과로로 인해 빠져나가는 것을 들수있음 마그네슘 효과 마그네슘이 부족하면 혈압, 심질환, 2형 당뇨 등이 발생할 수 있다네요.. 몸을 이완시키고 긴장에서 벗어날 수 있게 도와주므로 잠을 잘 잘 수있게 해주며 긴장에서 벗어남으로 우울증에 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미네랄 중 사람에게 결핍되어 있는 것은 뽑으면 마그네슘, 아연을 들 수 있다. 젊을 때에도 운동을 할 때 땀을 흘리면서 전해질 빠짐으로 쥐가 나기도 하며, 나이가 들면 자다가도 쥐가 나기도 한다. 또 제일 흔한 증상으로 눈 밑이 떨리는 경우가 많다. 감마 오리자놀은 마그네슘과 최상의 궁합 요즘 마그네슘 영양제에는 마..

약공부 2022.07.22

멀미에 먹는 약은 어떤 것이 있을가?

멀미약 항히스타민 성분약으로 30분 전에 사용한다. 4시간 정도 효과가 지속되며, 어지러운 사람에게 유용한 도움을 줄 수 있다. 술 먹고 먹는 경우, 약물의 농도가 높아질 수 있으니 주의한다. 멀미약의 경우 졸릴 수 있으니 운전 등 주의가 필요한 행동은 자제하는 것이 좋다. 짜먹는 타입, 알약, 녹여먹는 타입, 씹어먹는 타입, 가루약, 물약 등등 다양한 제형이 있다. 성분: 디멘히드리네이트, 메클리진, 키미테(스코폴라민): 적어도 4시간 전, 2박3일 지속 효과, 16세이상, 1개만 붙인다.

약공부 2022.07.19

피부 재생에 쓰는 스티모린 크림에 대해 알아보기

천연 성분으로 피부재생 촉진제로 홍보를 하고 있는 스티모린 크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스테로이드가 없고 항생제가 안 들어간 점을 내세우고 있습니다. 주요 성분을 알아보면 소맥엑스증류액, 페녹시에탄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스티모린 크림 효과 상피의 신속한 재생이 요구되는 피부질환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예를 들마녀 화상, 외과적 상처, 절개부위입니다. 정맥류성 궤양, 방사선 피부염, 욕창, 균열, 피부괴사, 타박상 등에 효과가 있습니ㅏㄷ. 소맥 추출물에는 이런 피부 재생과 관련 있는 성분들이 많이 있나봅니다.. 스티모린 크림 용법 많이 발라도 상관이 없습니다. 인체에 무리가 가는 성분은 없기에 하루 수회 바르는 것이 가능합니다.

약공부 2022.07.15

약국에서 살 수 있는 흉터 치료제는 어떤 것이 있을가? (콘투락투벡스, 노스카나, 에스클리어, 더마틱스)

기본적인 전제가 있다. 약국에서 사는 흉터 치료제는 움푹 패인 상처에는 효과가 거의 없다. 즉, 살짝 검거나 빨갛고 오돌토돌한 상처인 비후성 흉터에 효과가 좋다 이런 느낌의 흉터에 도움이 된다. 콘투락투벡스 일단 겁나 비싸다.. 다른 약에 비해서.. 외자계 약이기도 하고 이 약이 오리지널인 것으로 알고 있다. (국산도 좋아요!) 성분은 세파연조엑스, 알란토인, 헤파린나트륨으로 구성되어 있다., 알란토인은 각질을 용해하여 약물이 잘 침투하게 하고, 상처 조직에 수분을 공급해서 상처 치유를 돕는다. 헤파린은 콜라겐 구조를 느슨하게 해서 흉터 조직을 촉촉하게 하고 섬유모세포의 과다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흉터치료제에서는 헤파린이 중요하다. 상처가 나았을때 엷어지게하는 역할을 하는 것 노스카나 노스카나 성..

약공부 2022.07.11

상처났을때 어떤 메디폼을 붙여야할가?

메디폼이나 드레싱을 하는 이유는 상처부위에 붙어서 산소 공급을 안되게 해서 유해 세균의 증식을 막고 유해 바이러스의 침입을 막기 위함입니다. 이럼으로써 새살이 나오는데 도움을 주고 상처 재생에 좋은 환경을 조성하는 만큼 흉터가 덜 생기게 됩니다. 메디폼은 얇은것과 두꺼운 것으로 나누어서 구분하면 좋습니다. 얇은 제품은 보통 씬(THIN)이라는 표현이 같이 되어 있습니다. 예를들면 듀오덤 엑스트라씬, 이지덤 씬, 메디폼 씬 상처가 가벼운 경우에 붙이고 화상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제품과 살이 붙어서 제품을 갈아줄때 살과 제품이 같이 뜯겨나와 성형수술을 해야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두꺼운 제품은 폼이라는 표현이 같이 되어있습니다. 진물이 나는 상처나 화상입은 경우 화상인 경우 하이맘 번이라는 제품을..

약공부 2022.07.09

멍이 들었을 때에는 어떤 약을 먹어야할가?

멍약 멍이 잘 드는 사람이 있다. 빈혈이 자주 발생하는 사람은 혈관이 약해서 멍이 잘든다. (멍약을 잘 삼) 이런 사람들은 혈관을 튼튼하게 하고 빈혈을 잡아주는 것이 멍이 자주 발생하는 것을 막는데 도움이 된다. 비타민 B,C,E등 항산화제를 복용해서 혈관을 튼튼하게 하고 윤기나게 하면 도움이 된다. 멍이 든 부위 -> 헤파린제제 벤트플라, 노블루겔 멍이 든 부위가 아픈 경우 -> 소염진통제 이부프로펜, 덱시부프로펜 멍에 쓰는 한방제제 -> 당귀수산 멍과 어혈을 풀어주는데 쓴다. 어혈을 풀어주는데 좋은 한약제제는 작약감초탕이 있다. 작약감초탕은 근이완제로써 사용이 된다. 얼굴 멍에는 헤파린제제는 사용하지 않고 arnigel을 사용

약공부 2022.07.08

약국가서 구매하는 코 감기약 알아보기

코감기에 걸렸다고 하는 것은 코막히고 콧물나고 재채기하는 경우를 말한다. 환절기에 많이 걸리고 감기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고 알레르기성 비염일 확률이 높다. 알레르기는 치료가 매우 어려우므로 대증요법으로 한다. 콧물, 재채기가 나면 코가 일시적으로 막히게 되고 잠을 잘때 정상적인 수면이 어려워진다. 뇌에 산소 공급이 줄어들고 머리가 멍해지고 집중력이 저하되고 두통이 온다. -> 그래서 코감기 증상이 사라지면 두통도 자연스레 없어지는 경우가 많다. 코감기약은? 코막히면 두통이 올 수 있어서 아세트아미노펜을 같이 사용하고 비충혈제거제인 슈도에페드린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많은 경우에 복합제로 나와있다. 코감기를 빙자한 알레르기성 비염일 경우 한방제제로는 소청룡탕이 효과가 좋다. 증상이 약한 경우는 세티리진..

약공부 2022.07.07

상처난 곳에는 어떤 연고를 발라야할가?

약국에 가서 상처난 곳에 바르는 연고를 달라고 하면 항생제 연고를 줍니다. 상처난 경우, 농가진, 등등의 경우에는 항생제 연고를 사용합니다. 에스로반은 무피로신 후시딘은 퓨시드산 쿼드케어 연고는 네오마이신, 폴리믹신B, 바시트라신 등 항생제마다 유효성분이 다르고 경험적 요법에 의해 사용이 됩니다. 항생제 연고는 하루에 1~4번정도 경우에 따라 다르게 바르게 됩니다. 저는 드레싱 유무에 따라 구분을 합니다. 연고만 바르는 경우에는 하루 3~4번정도 발라주고 드레싱을 하는 경우에는 드레싱 갈아주면서 발라줍니다. 그러면 하루 1~2번 바르게 되겠죠 참고로 넓은 부위를 바를 때에는 로션 연고 크림은 국소부위 겔제제는 표면만 넓게 펴서 바르는 것을 말합니다. 로션 크림 연고 순으로 침투력이 높아지므로 질환에 따라..

약공부 2022.07.07

약국에서 몸살감기는 어떤 약을 먹어야 하나?

몸살감기는 외부변화에 몸이 잘 적응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코 기침감기에 비해 치료가 매우 빠르고, 일시적으로 증상만 완화해주면 금방낫는다. 몸살감기는 두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의실의실 춥고 땀은 안나는 경우 -> 땀을 빼주는 갈근탕을 사용하고 이불덥고 잠을 잠으로써 땀을 빼는 것이 좋다. 의실의실 춥고 땀이 나는 경우 -> 쌍화탕(보약)으로 원기를 보충해주는 것이 좋다. -> 땀을 많이 흘림으로써 진액이 빠져 허약해진 것이다. -> 몸을 튼튼하게 해서 낫게 한다. 의실의실 춥고 땀은 안나는 노인인 경우에는 갈근탕 대신 인산패독산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어르신들은 갈근탕을 먹을 경우 땀이 나면서 진액까지 빠져 허약해질 수 있다. 정리하자면 갈근탕, 쌍화탕 인산페독산 중에 선택을 하..

약공부 2022.07.06

옵티브이 점안액 효능과 주의점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눈 간지러워서 안과를 방문했더니 옵티브이 점안액을 처방해 주었습니다. 그럼 과연 옵티브이 점안액은 어떤 약인지 알아볼가요?? 옵티브이 점안액 효과 옵티브이 점안액은 상품명이고 이 약의 성분은 플루오로메톨론입니다. 저는 이 플루오로메톨론을 통해서 옵티브이 점안액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플루오로메톨론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항플루오로메톨론은 항염증작용을 나타내는 스테로이드제제입니다. 프로스타글란딘, 류코트리엔과 같은 염증반응과 관련된 물질이 만들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스테로이드 제제 입니다. 보통은 눈의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합니다. 눈이 가려운 이유는 히스타민의 작용 때문인 것같고 알레르기 물질로 인해 염증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증상이 더 심해지는 것 같습니다. 옵티..

약공부 2021.09.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