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간경변증의 개요
간경변증의 정의:
만성적 간손상에 대한 상처 치유/재생 과정에서 재생결절(regenerative nodules)과 진행성 간 섬유화가 진행된 상태
Healthy liver → Fibrotic liver(scar존재) → Cirrhotic liver(scar에 의해 blood flow 가 막혀 간이 딱딱하게 굳어감) → liver cancer
II. 역학
국내에서는 간염이 요사망원인중 하나이며 남성이 여성보다 더 많이 발생
간경변증의 주요원인:
B형 간염바이러스에 의한 만성 간질환, 알코올성 간염, C형간염
주요 합병증
복수(물이 차는것),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정맥류 출혈, 간성뇌증
발생빈도: 복수> 정맥류 출혈> 간성뇌증
III. 병리와 병인
간섬유화(hepatic fibrosis) 및 간경변증 발생기전
- 간세포 손상 → 활성산소와 염증성 물질 분비 → 쿠퍼세포와 염증세포 활성화 → 간성상세포(HSC)활성화
- 간 손상시 활성화되면 HSC가 근섬유모세포로 분화 → 콜라겐 등 세포외기질 합성/분비 → 간섬유화 유발
- 만성적/비정상적 간 섬유화 진행 → 간의 구조, 형태, 기능 변화 → 간경변증 발생
- 간경변증의 합병증은 문맥고혈압과 간기능 부전
- 표[14-1] 간경변증의 주요 합병증
문맥고혈압(문맥압 항진증- 유사증상을 칭함), 정맥류 출혈, 복수,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간성뇌증, 간신증후군, 간폐 증후군, 간세포암
- 간경변증 병인
만성적음주 | 주요원인 |
만성 바이러스성 간염 | |
대사성 간질환 | 비알코올성 지방간 질환(NAFLD), 윌슨병(만성Cu침착) |
약물 | Amiodarone, isoniazid, methotrexate |
- 대상성 간경변증(합병증 없는 간경변증) vs 비대상성 간경변증(합병증 수반 간경변증)
- 대상성에서 비대상성 간경변증으로 진행시 약 6년 소요
복수 | 복수생성인자: 내장동맥혈관 확장으로 인한 문맥압 증가, 나트륨과 수분의 부적절한 배출 1. 문맥 혈류장애 → 간 내 저항 증가 → 점차적 문맥압 상승 2. 국소적 혈관확장 물질(NO)생성(문맥압을 감소시키기 위함) → 내장동맥혈관 확장 → 간경변 진행에 따라 유효 동맥혈류량 감소 3. 보상기전으로 교감신경계 활성화(혈관 수축시키기 위함), RAAS활성화, ADH과다분비 → 신장에서 나트륨, 수분 재흡수 증가 결과적으로 복수, 부종, 희석 저나트륨혈증 초래 |
정맥류 및 정맥류 출혈 | 간의 구조/역학적 변화로 인한 문맥압 항진 및 간내저항(intrahepatic resistance) 증가로 발생 문맥압이 역치 이상 상승하면 문맥-전신 측부혈관(portal-systemic collaterals) 형성(우회도로) *우회도로가 뭉친 것이 정맥류라고 함 간정맥 압력차(hepatic venous pressure gradient, HVPG) HVPG> 5mmHg → 문맥고혈압 HVPG 8-10mmHg → 정맥류 형성 HVPG> 12mmHg → 정맥류 파열/출혈 위식도 정맥류가 대표적 형태로 식도 정맥 수 증가, 정맥 크기 증가되고 주로 좌위정맥(left gastric vein)에서 발생 위장관 어디로나 생길 수 있지만 간과 가장 가까운 위, 식도가 가장 흔함 |
간성뇌증 | 간기능 저하로 인한 복합적 신경정신학적 증후군 발병기전: 불명확, 장 유래 질소화합물이 전신순환계로 유입 → 뇌조직에서 신경전달이상을 초래하여 발생 주 원인물질: 암모니아 외에도 GABA, Glutamate, 내인성 BDZ 유사물질, 망간 등이 관여 (아직까지는 원인물질이 정확히 밝혀지지 X, 암모니아가 가장 유력하다 짐작) |
간신증후군 | 발병기전: 불명확 신장의 혈액동력학적 변화: 동맥확장으로 인한 유효혈류량 감소 → 사구체 여과율 감소 → 간신증후군 유발(짐작) |
IV. 임상증상
- 증상 및 징후: 질병의 중증도에 따라 매우 광범위
- 초기에는 증상이 없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일반적증상(식욕부진, 피로, 체중감소, 메스꺼움, 근육쇠약, 피부 가려움증, 수면장애)
- 외 증상(황달, 퍼덕이기 진전, 거미상혈관종, 손바닥 홍반, 메두사머리, 잦은 멍과 출혈, 비종대, 간비대, 하지부종, 곤봉지, 간성구취
- 남성에 여성형 유방, 알코올성 간경변증에서 고환 위축 등 생식선저하증
- 심각한 경우 합병증 발생: 복수, 식도정맥 파열로 인한 토혈 또는 흑색변, 간성혼수,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등
- 간경변증 분류 - 대상성(합병증X)/비대상성(합병증O) 2가지로 분류
복수 | 가장 흔한 합병증, 대상성 간경변증의 약 50%에서 10년이내 경험 증상: 복부둘레 증가, 체중 증가, 심한경우 호흡곤란 |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 복수동반 간경변증 환자에서 뚜렷한 감염원인 없이 발생한 복수의 세균감염 증상: 발열, 황달, 복통 간경변증 환자의 주요사망 원인 중 하나 |
정맥류 형성과출혈 | 위식도 정맥류 증상: 토혈, 지속적 흑색변, 통증, 혈액손실에 따라 체위성 빈맥- 쇼크 등 다양 큰 정맥류일수록 쉽게 파열 간기능 저하로 혈액응고인자 합성 감소 → 사망할 수 있는 치명적 합병증 내시경검사: 정맥류 존재여부 확인 필요 |
간성뇌증 | 다양한 중추신경계 장애 수반 복합적 신경정신학적 증후군 증상: 가역적 경증 인지장애 – 심한 혼수까지 매우 광범위 초기 – 수면패턴변화, 진행시 – 기분변화(행복감, 우울감), 지남력 상실, 기면, 간질, 혼수 등 유발인자: 혈청 암모니아 수치 상승 이외 유발인자 질소부하 증가(위장관출혈, 단백질섭취 과다, 질소혈증, 변비) → 암모니아 수치 상승가능성 신기능 장애 및 전해질 불균형(신부전, 저칼륨혈증, 대사성알칼리증, 저산소증, 혈액량감소) 약물(마약성 진통제, 이뇨제) |
간신증후군 | 진행된 간경변증과 급성 간부전 환자에서 발생하는 기능성 신부전 예후 매우 불량하며 신장기능 악화, 나트륨배설감소, 핍뇨 |
간폐증후군 | 문맥고혈압과 관련하여 발생 폐내 혈관확장에 의해 산소화장애(유효동맥혈류량 감소) → 저산소혈증 |
간세포암 | 간경변증은 간세포암(hepatocellular carcinoma, HCC)의 주요 위험인자 B형, C형간염,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혈색소침착증에 의한 간경변증에서 HCC발생률이 높다 |
V. 진단기준
검사방법
혈액검사 | 전체혈구계산 검사(CBC,LFT검사) 간기능검사: 알부민, AST, ALT, ALP, GGT 프로트롬빈 시간측정 간효소 수치상승, 간의 합성기능 저하로 인해 프로트롬빈 시간 연장, INR(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상승, 혈청 알부민 감소 |
영상검사 | 복부초음파검사: 안전, 저비용으로 간경변증 진단 |
병리검사 | 간생검에 의한 조직검사 침습적 |
간경변증 분류(Child-Pugh 점수 및 등급 사용)
- 간경변 중증도분류, 환자의 장기 생존율과 삶의 질 예측에 도움
- Class A 환자는 15-20년 생존, Class C 환자는 1-3년 생존
- 뇌병증(간성뇌증) 유무, 복수 정도, 빌리부빈, 알부민, 프로트롬빈 시간, INR 평가
간경변증 분류(Model for end stage liver disease(MELD))
- 다양한 환자군에서 3개월 단기 생존율 예측에 사용되는 점수체계
- 간이식 필요환자 장기배분 우선순위 결정에 사용
- 혈청 크레아티닌, 총 빌리루빈, INR 수치 계산
- MELD점수가 높을수록 사망률 높음
간경변증 합병증의 진단
복수 | 원인에 대한 정확한 진단 필요 75-85% 간경변증이 원인 타진(옆구리 탁음 및 이동탁음), 복부초음파검사로 확인 복수천자: 복수의 원인 감별에 가장 간편하고 비용 효과적이며 유용한 검사 복수의정도 Grade1. 초음파등의 영상검사에 의해서만 확인이 가능한 소량의 복수가 있는 상태 Grade2. 시진 및 촉진으로도 쉽게 복수의 존재를 인지할 수 있는 경우 Grade3. 육안적으로 현저한 복부팽만을 보이는 대량 또는 긴장성 복수 |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 | 복수 동반 환자에서 발열, 복통, 원인 불명의 간성혼수 등 증상이 있는 환자 의심 의심되면 복수천자 시행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의 진단: 복강 내 뚜렷한 감염의 원인 없이 다형핵 호중구(polymorphonuclear leukocyte, PMN)가 250cells/mm3 이상이고, 복수천자액 배양에서 균이 배양되는 경우 |
정맥류 및 정맥류 출혈 | 진단 표준검사: 내시경검사 크기나 모양에 따라 식도정맥류 분류 1. 크기: 직경 5mm이상 큰 정맥류, 5mm미만 작은 정맥류 2. 모양: 염주상 또는 결정형 정맥류의 큰 정맥류, 직선 정맥류의 작은 정맥류 급성 식도정맥류 출혈: 문맥고혈압 의심 환자에서 토혈이나 지속적인 흑색변이 내원 전 24시간 내 있었던 경우로 정의 |
간성뇌증 | 간성뇌증의 진단: 확진검사는 없으며 임상적 소견에 의해 진단 간성뇌증의 중증도 분류: West Haven 판정기준에 따라 분류[14-9] 등급0. 정상행동 등급1. 경증인지 기능 결여, 주의력 감소, 덧셈 뺄셈 곤란 등급2. 지남력 상실, 부적절한 행동, 불명료한 발음 등 등급3. 현저한 지남력장애, 이상한행동 등급4. 혼수상태 |
'약물치료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전증 (epilepsy)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2.23 |
---|---|
바이러스성 간염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2.22 |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10.11 |
항암 후의 역하고 구토 유발은 어떻게 제어할가? (0) | 2021.10.10 |
임산부의 입덧 원인은 무엇이고 어떤 약을 먹을가?? (0) | 2021.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