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소화성궤양 (peptic ulcer disease, PUD)
-> 위산과 펩신 등의 공격으로 점막하층 또는 그 이하의 위장관 벽에 결손이 발생한 상태를 말한다.
미란과 궤양의 조직학적 정의
미란(erosion): 결손부분이 점막층 상피 표면에 국한되는 경우
궤양(ulcer): 점막결손이 점막층을 넘어 점막근육 등 점막하층 또는 그 아래까지 발생한 경우
위와 십이지장에서 발생하는 궤양과 미란을 모두 포함하여 소화성궤양으로 부름
병태생리적 발병기전
1. 위산, 스트레스, 개인의 성격, 유전적 요인 등
2. H. pylori 감염과 NSAIDs 사용이 소화성궤양 유발 주요 원인으로 확인
소화성 궤양 병리와 병인!
과거에는 위산과 펩신이 궤양 발생의 유일한 원인으로 생각 (“no acid, no ulcer”) but,,
위궤양의 경우, 정상 산분비 (또는 오히려 감소)
십이지장궤양의 경우, 30%에서만 위산 과다분비 보임
위점막의 공격인자와 방어인자 간 균형이 더 중요
공격인자: 위산, 펩신, 담즙산염 등
방어인자: 점액 및 중탄산염 분비, 점막혈류, 상피세포 재생 및 회복 등
대부분 내인성 프로스타글란딘에 의해 매개
NSAIDs 사용으로 PG 합성 억제 시
정상 위산 분비에도 불구 점막 손상 및 궤양 유발
궤양 발생 부위
일반적으로 위와 십이지장 근위부에서 발생
소화성궤양 유발 원인: H. pylori 감염, NSAIDs의 사용
특히 노인에서 NSAIDs 관련 소화성궤양 발병률 높다.
H. pylori 감염에 의한 궤양은 십이지장에서, NSAIDs 관련은 위에서 주로 발생
위궤양은 십이지장궤양에 비해 늦은 나이에 발병 경향 (고령에서 NSAIDs 사용 多),
주로 60세 이상 발생, 암과 연관성 높다.
1. Helicobacter pylori 감염
H. pylori
- 여러 개의 편모를 가진 나선형 박테리아, 그람음성 간균
- 만성위염 및 위궤양 환자의 위에서 발견
- 위 내 강한 산성환경에서 서식: 요소분해효소(urease) 생성
요소(urea)를 암모니아(알칼리성) + 이산화탄소로 분해
->위 산도 조절(pH↑); 편모 이용 점막층 침투/통과
H. pylori 감염
만성적 서식 국소 염증반응, 전신적 면역반응
위/십이지장궤양, MALT 림프종(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lymphoma,점막연관림프종), 위암 등 유발
위내에 HP 서식하면 거의 모든 사람에서 만성위염 유발,
이 중 10-20% 소화성궤양, 약 1%에서 위암 발생, 그 외 대부분은 평생 무증상
감염경로: 사람 대 사람 전파, 가족 내 감염률 높고, 모자감염(mother-to-child) 가능, 배설물을 통한 fecal-oral 전염 가능
구강 대 구강(oral-to-oral) 감염도는 일반적으로 낮은 편
소화성궤양 환자에서 HP 제균 시
십이지장궤양 재발 67% -> 6%로 감소
위궤양 재발 59% -> 4%로 감소
∴ HP 제균이 중요하다!
2. NSAIDs의 사용
Aspirin을 비롯한 NSAIDs 사용 증가
NSAIDs는 H. pylori 감염이 없는 경우 가장 흔한 소화성궤양 유발 원인
직접적/국소적 손상 유발
위점막과 세포 보호작용을 prostaglandin 합성 저해
만성적 NSAIDs 사용자의 약 25%에서 소화성궤양, 1-4%에서 출혈/천공 등 궤양 합병증 발생
특히, NSAIDs와 aspirin 함께 복용 시 위험 상승
선택적 COX-2 저해제 (celecoxib): 궤양/위장관 합병증 위험 감소
But, 심혈관계 합병증은 ↑
Aspirin과 함께 사용 시 궤양 발생 위험 증가
H. pylori 감염 및 NSAIDs 관련 소화성궤양 특징 비교 [표 8-2]
특징 | H. pylori 양성 소화성궤양 | NSAIDs 관련 소화성궤양 |
임상발현 | 만성적 | 만성적 |
주요 손상부위 | 십이지장 > 위 | 위 > 십이지장 |
손상기전 | 감염에 의한 염증 및 면역반응 유발 (+ 직접적인 점막 손상) |
PG 합성억제로 인한 세포방어기전 약화 (+ 직접적인 점막 손상) |
점막손상에서 위산의 역할 |
크다 | 적다 |
증상 | 상복부 통증 등 위장관 증상 동반 | 주로 무증상 |
궤양 깊이 | 표면에 국한 | 깊다 |
위장관 출혈 | 경증 | 중등도 이상 |
H. pylori와 NSAIDs, 두 인자가 함께 존재할 경우 소화성궤양 발생 위험 상승
3. 기타 요인
- 궤양 유발 약물
Glucocorticoid와 NSAIDs 병용
Bisphosphonates: 주로 식도 자극 및 염증 유발
(참고: 복용 시 물 많이 마시고, 복용 후 30분간 눕지 않기)
Cocaine과 methamphetamine: 점막허혈에 의한 궤양과 천공 유발 가능
(기전 참고: 교감신경 활성 à 혈관 수축)
- 흡연
H. pylori 감염자에서만 흡연이 궤양 발생 위험을 높이다는 보고,
소화성궤양 환자에서는 금연 권장
- 식습관
다량의 알코올, 커피, 콜라, 차, 카페인, 자극적인 음식
상관성 미약
- 심리적 스트레스
임상증상
1. 증상
무증상~출혈/천공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 등 상부 위장관 증상
보편적 증상: 상복부 통증, 상복부 불쾌감, 속쓰림, 더부룩함, 식욕부진, 구역, 구토등
증상 발현 시간
십이지장궤양: 식후 1-3시간 사이 또는 공복에 상복부 통증
-> 음식물 섭취나 제산제 복용으로 통증 완화
위궤양: 음식물에 의해 통증 유발되거나 악화 (식사 후 통증 유발)
증상과 질병
증상 차이만으로는 PUD 진단과 위궤양/십이지장궤양 감별 어렵다.
비궤양성 소화불량(nonulcer dyspepsia, NUD)
-> 내시경검사에서 궤양 확인되지 않으나, 궤양 유사 증상을 보이는 경우
2. 징후 및 합병증
징후
약간의 상복부 압통; 합병증 동반될 경우, 토혈, 혈변 또는 흑색변, 구역, 구토
합병증: 위장관 출혈, 천공, 폐쇄
진단기준
1. 위내시경과 상부위장관 조영술
위장관 조영술: 일차 진단방법으로 추천되지 않음
내시경 검사: 가장 표준적 검사법. 진단 정확도 95% 이상.
검사 중 조직검사 및 H. pylori 감염 여부 확인 장점
2. 검사실 검사
PUD 진단에 별로 도움이 되지 못함; 졸링거-앨리슨 증후군 진단은 혈청 gastrin 측정
3. H. pylori 감염진단 [표 8-3]
1) 내시경적 검사 방법
요소분해효소 검사 ★ (Rapid urease test, RUT) |
조직검사 | 배양검사 |
생검조직 이용 민감도>90%, 특이도>95% 저렴한 비용, 쉽고 편한 검사, 24시간 내 결과 CLO test, ultrarapid urease test, urease reagent strip test 등 HP 감염진단 일차검사 |
민감도 및 특이도 >95%인 표준 검사 신속한 결과 얻기 어렵고, RUT보다 고비용 |
민감도 80-90% 특이도 100% HP 배양 어렵고 검사방법 복잡 제균치료에 실패한 환자의 2차/3차 제균요법 선정할 때나, 또는 항생제 내성 확인 시 사용 |
2) 비내시경적 검사 방법
요소호기검사 ★ (Urea breath test, UBT) |
혈청검사 | 대변 내 항원검사 |
민감도 및 특이도>95% 매우 정확, 신뢰할 만한 비침습적 검사법 초기 HP 감염 여부 확인 및 제균 치료 후 확인 추적검사에 가장 많이 사용 PPIs, H2RA는 검사 1-2주 전, bismuth제제와 항생제는 4주 전 투약 중단 필요 |
HP에 대한 IgG 항체 검출 방법 과거 감염과 현 감염 구별 불가 제균치료 후 확인추적검사로는 부적합 |
호기 조절이 어려운 영유아에서도 쉽게 시행 소아 연령에서 감염 여부 확인에 선호 |
3) 치료 후 추적검사
HP 제균치료 후 제균 성공 여부 확인
특히 추적검사 시행 대상인 환자: 모든 위궤양 환자, 합병증 동반 십이지장궤양 환자, 조기 위암 환자, 변연부 B세포 림프종(MALT type) 환자, 제균 치료 후 증상이 남아 있거나 재발된 십이지장궤양 환자
제균치료 성공 여부, 위암 여부, 궤양 병변의 재발 여부 확인
요소호기검사가 가장 유용
위암과의 감별진단 위해 내시경 검사 필요한 경우, 요소분해효소검사(RUT) 추천
추적검사 시기: 치료 종료 후 최소 2-4주 경과 후 시행
약물치료
1. 치료목표
궤양으로 인한 통증 완화, 궤양 병변 치유, 궤양 재발 예방, 합병증 예방 및 감소
HP 양성 궤양의 경우 HP 제균
2. 비약물요법
식습관 조절: 환자 개인에 따라 특정 음식을 피하는 정도로 권유
생활습관 개선: 금연, 금주, 스트레스 완화 등
NSAIDs 사용 자제
수술요법
3. 약물요법
1) 소화성 궤양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 3) NSAIDs 관련 소화성궤양의 예방과 치료 |
2) H. pylori 제균요법 | 4) 스트레스 관련 점막손상 (SRMD) |
1) 소화성궤양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
① 제산제 ② 히스타민수용제 길항제(H2Ras) ③ 양성자펌프 억제제 (2) PPIs 칼륨경쟁적 산억제제 (potassium competitive acid blockers, P-CABs) |
④ Sucralfate ⑤ Bismuth 제제 ⑥ Misoprostol ⑦ 기타 소화성궤양 치료 약물 Rebamipide |
① 제산제
작용: 위산 중화 -> 궤양 증상 개선 (BUT 근본 치료제 아님)
장기간 NSAIDs와 제산제의 일괄 병용투여 지양되어야. (궤양 증상 차폐로 합병증 위험 증가)
이상반응
마그네슘 제제: 설사 유발 / 알루미늄 제제: 변비 유발
신부전 있는 경우 (배설 안됨)
유발 | |
마그네슘 | 고마그네슘혈증 |
알루미늄 | 신경독성, 빈혈, 알츠하이머병 |
제산제 포함 나트륨 |
체내 수분 저류 |
칼슘 | 고칼슘혈증, 대사성 알카리증, 신부전 |
구연산 (citrate) |
알루미늄 흡수 증가시킴 ∴ 알루미늄 제제 + 구연산 포함 약물 또는 식품을 병용하지 않음. |
알루미늄: 소장에서 인산염 흡수를 저해 à 저인산혈증 유발 가능
② 히스타민수용체 길항제 (H2Ras)
작용: 벽세포의 H2 수용체에 히스타민과 경쟁적 결합, 위산 분비 억제
PK
경구투여로 신속 흡수
제산제와 동시 투여 시 10 - 20% 흡수 저해
Cimetidine, famotidine, ranitidine: 간에서 1차 대사 후 생체이용률 낮고(35-60%) 까지 감소,
nizatidine: 간 대사 거치지 않아 생체이용률 높다 (100%)
간 대사와 신장으로 배설: 중증 신기능 장애 동반 시에만 용량조절
Cimetidine, famotidine: GFR 15-30 mL/min인 경우, 용량 50% 감량
Ranitidine, nizatidine: GFR < 50 mL/min인 경우, 용량 50% 감량
75세 이상 고령: 신장기능이 감소하므로 용량 감량
소화성궤양 치료에 사용되는 히스타민수용체 길항제
이상반응 (장기간 사용시, 특히 고연령층, Cimetidine)
약한 항남성호르몬 작용: Cimetidine 고용량/장기간 à 여성형 유방, 발기부전
중추신경계 작용: cimetidine에 의해 혼동, 흥분, 기면, 어지러움 등 보고
비타민 B12 흡수장애 및 결핍 à megaloblastic anemia (거대적혈모구빈혈)
약물상호작용 (Cimetidine: CYP 억제함)
Cimetidine 과 ranitidine: theophylline, phenytoin, lidocaine, quinidine, warfarin 대사 감소로 혈중농도 상승
Famotidine과 nizatidine은 CYP450에 낮은 친화도 à Drug interaction과 무관
내성과 관용: 2주 이상 장기간 사용 시 -> 고 gastrin 혈증 -> 약물내성 (tolerance) 발생
③ 양성자펌프 억제제 (PPIs, P-CABs)
가) PPIs
산성 환경에서 활성화된 후 -SH기가 양성자 펌프의 cysteine 기와 disulfide bond (공유결합, 비가역적 결합) 형성
벽세포 분비세포(secreting canaliculi)의 양성자펌프에 비가역적 결합 à 위산분비 차단
산성도에 의존하여 활성화되므로 아침식사 30-60분 전 투여가 가장 효과적
모든 PPI 제제는 궤양 치료나 증상 완화 측면에서 비슷한 효과
중증 간질환 환자에서 용량조절 필요
약물상호작용:
위 내 pH 상승으로 타 약물 흡수 감소 (by Omeprazole) : digoxin, ketoconazole, atazanavir 등
CYP450 대사 억제: warfarin, diazepam, phenytoin 등 대사 감소, 혈중농도 상승
Clopidogrel + omeprazole 상호작용 à clopidogrel 의 항혈소판 효과 감소 (major DDI)
-> Inhibition of CYP2C19-mediated clopidogrel metabolism to active metabolite by omeprazole
현재 사용되고 있는 양성자펌프 억제제 [표 8-5, p 130]
이상반응:
설사와 두통
고용량 PPI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소장에서 칼슘 흡수 저하 -> 골밀도 감소, 골절 위험 증가 (노인환자)
위산분비 감소로 위장관 감염 위험 증가: C. difficile 감염에 의한 설사 2배
Digoxin 이나 이뇨제와 병용할 경우, 저마그네슘혈증 유발
고가스트린혈증 유발 à 위세포 이형성(dysplasia)과 위 선암종 유발 추측
나) 칼륨경쟁적 산억제제 (Potassium competitive acid blockers, P-CABs)
Ravaprazan (Revanex ®): 위산펌프 길항제 (acid pump antagonist, APA)
기전: 양성자펌프의 K+ 결합부위에 경쟁적으로 이온결합 -> H+ 교환과정을 가역적으로 방해 (PPI와 P-CABs 차이점: 비가역/가역)
더 빠른 효과 발현
COX-2,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 IL-8 등 세포보호성 단백질을 증가 à 염증 조절기능과 위점막 세포보호기능
위염,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 치료제로 허가
표준치료기간: 십이지장궤양은 4주, 위궤양은 4-8주간
Tegoprazan (K-CAB정)
미란성/비미란성 위식도 역류질환 및 위궤양의 치료
④ Sucralfate: 복합금속염 (낮은 복약순응도로 권장되지 않음)
작용: 점막 보호작용
황산 음이온 (sulfate anion)이 궤양저의 노출된 조직에 부착, 보호장벽 형성 à 공격인자로부터 위점막 보호
점막의 PG 증가, 점액과 중탄산염 생산 자극, 세포증식과 분화 촉진, 궤양 (억제 뿐 아니라) 치유과정에 관여
십이지장궤양과 위궤양 치료에는 사용되나, NSAIDs 관련 소화성궤양 발생 예방목적으로는 효과 미미
매 식사 30-60분 전 투여
하루에 여러 번 복용 등 까다로운 복용방법 (복약순응도가 낮음) , 약물상호작용 가능성
⑤ Bismuth 제제
작용
점액과 복합체 형성 -> 궤양저에 막 형성, 위산 공격으로부터 보호
대식세포 유도, 점막에서 PG와 점액, 중탄산염의 생산 촉진 -> 궤양 치유
H. pylori 에 대한 항균활성 à H. pylori 제균에도 사용
이상반응: 검은색 변
제제: colloidal bismuth subcitrate (A), bismuth subsalicylate (B), bismuth subcitrate potassium 등
제제에 따라 흡수율 차이: A > B
H2RA와 함께 투여하면 흡수 증가
⑥ Misoprostol
합성 PGE2 유사체
점막 혈관 확장 (충분한 혈액 공급), 점액과 중탄산염 생산 증가 à 점막 방어기전 강화
이상반응
설사와 복통 (Major)
수분과 전해질 분비 촉진 -> 설사 유발
음식과 함께 복용 시 설사 감소
부작용: 자궁 수축력 증가로 자연 유산 유발, 가임기 여성에서 주의 사용
기타 소화성궤양 치료 약물
가) Alginic acid: (우리나라: 비만치료제의 보조제) 위벽과 식도 보호 방어막 역할
나) Rebamipide
위점막 치유:
위점막 PG 생산 증가, 위점액 분비 활성화, 활성산소 억제, 염증성 사이토카인 억제 등 다양한 약리작용을 통해
위산분비에는 영향 없음
H. pylori 제균 후 위궤양 치유 효과, NSAIDs 관련 소화성궤양 예방효과
현재 우리나라를 비롯한 아시아권에서 위염 및 위궤양 치료에 널리 사용
다) Ecabet sodium
라) 스티렌 (구두언급)
교과서에는 나오지 않음
쑥 추출물, 위점막 보호제, NSAIDs 와 병행해서 빈번하게 처방되는 약물
2) H. pylori 제균요법
제균 치료대상
H. pylori 제균 치료대상
반드시 치료 (Definite indications) |
H. pylori 양성 소화성궤양 변연부 B세포 림프종 (MALT type) 조기 위암 |
치료 권장 (Recommended indications) |
위암 가족력 있는 경우 설명되지 않는 철결핍성 빈혈 만성특발혈소판감소증 |
치료 고려 (Possible indications) |
위축성 위염 비궤양성 소화불량 장기간 NSADIs 사용자 |
H. pylori 양성 소화성궤양 환자
소화성궤양은 재발률이 높은 편인데 HP 제균하면 재발률 현저히 감소 (재발률: 제균 후 5% 이내로 감소됨)
변연부 B세포 림프종 (MALT type)
위 발생 림프종의 92~100% 에서 HP 발견
HP 제균요법 후 초기 병기 소실 보고
조기 위암환자
HP 는 위암과의 관련성이 높아 위암 치료 후 제균치료 추천
H. pylori 제균요법: 약물효과, 항생제 내성, 치료기간, 복약이행도, 유전적 요인 등이 성공 좌우
H. pylori 제균요법
약물요법 | 약물 | ||
PPI 근간 3제요법 |
1 PPI 표준용량 1일 2회 2 clarithromycin 500 mg 1일 2회 3 amoxicillin 1,000 mg 1일 2회 (또는 penicillin allergy인 경우, metronidazole 500 mg 1일 2회) |
순차요법 | PPI 표준용량 1일 2회 (1-10일) + amoxicillin 1000 mg 1일 2회 (1-5일) + clarithromycin 500mg 1일 2회 (6-10일) + metronidazole (또는 tinidazole) 250-500 mg 1일 2회 (6-10일) |
Bismuth 근간 4제요법 |
1 Bismuth 120mg 1일 4회 2 PPI 표준용량 1일 2회 3 metronidazole 500 mg 1일 3회 4 tetracycline 500mg 1일 4회 |
구제요법 | 1) Bismuth 120 mg 1일 4회 + PPI 표준용량 1일 2회 + metronidazole 500 mg 1일 3회 + tetracycline 500 mg 1일 4회 2) PPI 표준용량 1일 2회 + amoxicillin 1,000 mg 1일 2회 + levofloxacin 250 mg 1일 2회 (또는 500 mg 1일 1회) 3) PPI 표준용량 1일 2회 + amoxicillin 1,000 mg 1일 2회 + rifabutin 150 mg 1일 2회 |
비스무스 비포함 4제요법 |
1 PPI 표준용량 1일 2회 2 amoxicillin 1,000 mg 1일 2회 3 metronidazole 500 mg 1일 2회 4 clarithromycin 500 mg 1일 2회 |
PPI 표준용량: esomeprazole 40 mg, lansoprazole 30 mg, omeprazole 20 mg, pantoprazole 40 mg, rabeprazole 20 mg
Tetracycline 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doxycycline
PPI 포함 3제요법이 표준 일차요법
Clarithromycin 내성이 의심되는 경우, 비스무스근간 4제 요법 추천
4제요법: 일차치료 (X) / 이차치료 (O)
순차요법: 제균치료 실패시 사용하는 요법으로 일차치료로 권장하지 않음
치료기간
미국: 최소 10일 ~ 14일 권장
우리나라, 유럽: 1주 치료 보편적, 2주 치료 필요성 대두
2주 치료시 절대 제균률 (absolute cure rate) 높음
ü 현재 국내 보험기준에서 7-14일 치료 인정
3) NSAIDs 관련 소화성궤양의 예방과 치료 (1) [표 8-8]
임상상태 | 치료방법 | |
소화불량 | 약물변경, (가능하다면) 용량 감소, H2RA 또는 PPI 시험적치료 | |
H. pylori 감염 | 제균치료* | |
활동성 궤양 |
NSAIDs 중단 | H2RA 또는 PPI |
NSAIDs 계속 사용 |
PPI | |
예방적 요법 | Misoprostol, PPI, 선택적 COX-2 저해제 사용 | |
* 우리나라는 궤양발생 고위험 환자에서만 (우리나라는 절대적이지 않음) , 미국은 모든 감염 확인 환자에서 제균치료 권장 |
3) NSAIDs 관련 소화성궤양의 예방과 치료 (2): 사용 약물
① Misoprostol
NSAIDs에 의한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예방효과 우수
위궤양 및 십이지장궤양 치료에 1일 800 μg (200 μg씩 4회) 경구투여 (반감기가 짧아서 한번에 복용할 수 없음)
국내 NSAIDs 관련 소화성궤양 예방과 치료에 모두 사용 승인, 미국: 예방 목적만 (BUT 복약이 불편하므로 PPI 보다는 선호되지 않음)
② H2RAs
NSAIDs에 의한 소화성궤양 예방목적에 사용 권장 안됨
③ PPIs
NSAIDs 관련 소화성궤양 치료에 H2RA보다 우수
NSAIDs에 의한 소화성궤양 예방에서 misoprostol 보다 부작용이 적어 선호
④ 선택적 COX – 2 저해제
비선택적 NSAIDs에 비해 소화성궤양 발생률 낮음
기존 NSAIDs 와 PPI 병용 시 à COX-2 저해제 단독 투여와 궤양 재출혈률 유사
COX-2 저해제와 저용량 아스피린 병용 시 à 기존 NSAIDs와 궤양 발생률 차이없음
Celecoxib 400 mg 단독 투여와 Celecoxib 400 mg과 esomeprazole 40mg 병용투여 시 13개월 후 재출혈률은 8.9%와 0% à 고위험 환자에서 재출혈 감소에 도움
단, 선택적 COX-2 저해제에 의한 심혈관계질환 위험 증가 우려
Celecoxib 도 고용량(하루 800mg 이상) 투여시 심혈관계 질환 위험 증가 보고
3) NSAIDs 관련 소화성궤양의 예방과 치료 (3): 약물요법
예방요법
NSAIDs 사용 필요한 고위험 환자의 소화성궤양 예방: 선택적 COX-2 저해제 사용 또는 PPI / misoprostol 병용투여 권장
HP 감염 진단 및 치료여부
국내: 소화성궤양 발생 고위험 환자에서 HP 감염여부 확인 후 양성이면 치료 시행 권고, 궤양발생 위험인자 없을 경우 HP 감염 진단/치료는 권고 X
치료요법
NSAIDs 사용 중단 환자: H2RAs 또는 PPIs 사용
NSAIDS 계속 사용 해야하는 환자: PPI 사용, 궤양 재발 이차예방 목적으로 PPI 또는 misoprostol 병합투여 권장
NSAIDs 관련 소화성궤양 발생 환자에서는 HP 감염을 진단하고 치료해야
4) 스트레스 관련 점막손상 (stress-related mucosal damage, SRMD)
수술, 외상, 중증 화상, 패혈증, 장기 부전, 신경 손상 등 심각한 생리적 스트레스 겪는 중환자에서 발생하는 미란성 위염(스트레스성 궤양, stress ulcer)
주로 위저(gastric fundus)에서 발생, 심각한 궤양이나 출혈로 진행되기도
급성적 발생: 1~4% 에서 심각한 급성출혈
SRMD 예방요법이 필요한 경우 [표 8-10] : 주요 위험인자 1개 이상 또는 기타 위험인자 2개 이상 시 예방요법 필요
주요 위험 인자 |
48시간 이상 기계적 환기가 필요한 호흡부전 응고병 (INR > 1.5 또는 혈소판 수치 < 50,000 mm3, PTT > 기준치 2배) 과거 (1년 이내) 위장관 출혈 병력 두부 또는 척수 외상 체표면적 35% 이상의 화상 |
기타 위험 인자 |
패혈증 중환자실 입원기간 1주 초과 6일 이상의 위장관 잠재출혈 고용량 스테로이드 사용 (> 250 mg hydrocortisone 또는 동등 용량) |
SRMD 예방요법
체액량 소생, 혈역학적 적정화를 통한 내장관류 유지 필수
약물요법: 산분비억제제 가장 선호
H2RA 나 PPI 정맥주사
경구투여 가능 환자에서는 PPI 경구 투여
'약물치료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속되는 설사 어떻게 치료할가? (0) | 2021.09.15 |
---|---|
변비 약물 치료는 어떻게 할가?? (0) | 2021.09.14 |
대장직장암 원인과 약물치료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8.05 |
폐암 치료에 대해 알아보장 (0) | 2021.08.04 |
위암 원인과 약물 치료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