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치료학 공부

화장실 자꾸 가는 과민성대장증후군 어떻게 치료할가?

unitypharm 2021. 9. 16. 20:40
728x90

https://www.verywellhealth.com/ibs-pain-locations-1945305

      과민성대장증후군 개요

   결장의 정상기능을 방해하는 위장관 장애로, 복통 혹은 복부 불편감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적 증후군

 

과민성대장증후군 원인

   원인: 유전적, 스트레스, 심리적요인, 위장염, 특정 음식에 대한 과민반응 등

      대장 내 상주균 구성이 비정상적으로 변하는 것이 일부 원인

      정서적 고충과 강한 연계

 

   -장 축(brain-gut axis)” 조절이상에 의해 발생

       내장신경은 장관 평활근을 제어하며, 자율신경계에 의해 뇌와 연결

       5-HT, acetylcholine, substance P, 산화질소 등 관여

       5-HT35-HT4 수용체는 장 운동성, 내장 민감도, 장 분비에 관여

               - 5-HT3 길항제 (alosetron)는 중증 IBS-D(여성)에 사용

               - 5-HT4 효능제 (prucalopride) IBS-C에 사용

       중추신경계 이상, 운동성 이상, 내장 과민성 등 많은 요인이 관여

       IBS 환자의 대장은 정상 자극에도 비정상적으로 민감: 내장 과민성이 통증, 장 팽창 관련 통증으로 발현

 

과민성대장증후군 치료

결론부터 말하자면 증상완화에 초점을 맞춰서 치료를 한다.

비약물 치료

1) 식단 개선: 표준적 치료방법

       설사형 IBS에서 음식 과민성과 부작용 감소 위해 제외: 유당(우유, 유제품) 및 글루텐 피하기, 과당과 소르비톨, 밀          등 제외

       가스유발성 음식섭취 조절

       알코올, 카페인 제한

       FODMAP 식이요법 권장 (low FODMAP diet)

            -       FODMAPs (short-chain carbohydrates): 거의 소화 및 흡수되지 않음

            -       소화되지 않은 상태로 소장, 대장에 도달: 박테리아 발효의 기질 제공 가스, 장 팽창, 복압 증가 유발

            -       Probiotics: 장내 발효를 줄여주고 장내 세균총 안정화

       영양결핍 유의

       일부환자 probiotics

 

2) 심리 요법

 

약물치료

약물요법 약물 특징
1) 식물성 약물 Peppermint oil, 캐모마일 pass (생산중단)
2) 진경제 Dicyclomine (항콜린약) 복통 치료에 가장 많이 사용
3) 팽창성 하제 psyllium,
calcium polycarbophil
 
IBS-C에서 대변의 이동 향상
4) 항운동제 loperamide IBS-D 환자에서 가장 유용
5) 5-HT4 효능제 prucalopride 위장관 내 5-HT4 수용체 자극장분비, 연동, 소장 통과증가
IBS-C에 사용
6) 5-HT3 길항제 Alosetron -중증 IBS-D 여성환자에게
-허혈성 결장염과 연관
Ramosetron -5 ug, 11회 경구투여
-IBS-D 환자 (남성, 여성)
7) 항우울제 -TCA:
amitriptyline, doxepin
-저용량(110-25 mg, 취침전 복용) 사용
-IBS-D 환자 복부통증
-SSRIs:
fluoxetine, sertraline
TCA 효과적이지 않을 때
8) CCA lubiprostone -성인의 만성 특발성 변비치료제, IBS-C 치료제(여성)
-장내 염소통로에 작용 장액 분비, 장 운동성변 통과 증가
- 기계적 폐색 병력 환자나 폐색 의심환자 사용금기
-임산부 안정성 미확보

   IBS-C 약물요법 (변비가 심할때)

Psyllium Prucalopride Lubiprostone parxetine
팽창성하제 (차전자씨) 5-HT4 작용제 CCA SSRIs
       배변횟수
       부작용: 복부팽만감, 가스
심혈관계 부작용이 tegaserod보다 만성변비나 IBS-C에 효과적 내장 과민성 감소

 

   IBS-D 약물요법 (설사가 심할때)

Loperamide Alosetron (우리나라에서 사용x) amitriptyline
지사제 5-HT3 길항제 TCAs
배변형태 호전/횟수 감소        변비, 허혈성 대장염 등 부작용 우려하여 통상적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로 제한 사용
       ramosetron
내장 과민성 감소

reference : 약물치료학 신일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