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치료학 공부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원인 약물치료 알아보기

unitypharm 2021. 7. 23. 17:58
728x90

-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     유해한 가스나 입자에 대한 노출로 만성염증이 유발되며, 기도와 폐실질의 손상을 가져와 지속적인 호흡기 증상과 기류제한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     특징: 비가역적인 기류제한 -> 소기도 질환폐실질 파괴(폐기종)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장기간 진행

-     전세계적 약 2억천만명 정도가 COPD에 걸렸을 것으로 추정(2007)

-     GOLD guideline 기준(FEV1/FCV(=1초간노력성호기량/노력성폐활량) <0.7): 10%의 유병률

-     위험인자: 고령(65세 이상), 남성, 저소득, 과거/현재 흡연자

 

COPD 원인
위험인자 내용
기류 제한과 공기 포획 소기도 폐쇄에 의한 폐 과다팽창
1)    운동시 호흡곤란 악화 및 운동 제한
2)    호흡근육의 수축력에 영향
3)    국소적 염증매개물질 활성화
가스교환 장애 저산소혈증, 과호흡
(기도)점액 과분비 술잔세포(goblet cell)증가, 점막하샘의 비대-> 만성적 가래가 있는 기침(만성기관지염의 특징적 증상)
폐동맥 고혈압 저산소증에 의한 폐 소동맥 수축-> 혈관 내막 증식, 평활근 비후 및 증식 등의 구조적 변화 야기
COPD 악화 세균/바이러스 감염, 주위 환경의 오염 물질 등에 대한 노출
전신적인 영향 심장기능 영향, 골격근 허약, 악액질(cachexia)
유전자 선천성 알파- 항트립신(α1-antitrypsin)결핍증
나이와 성별 고령자, 남성
폐 성장과 발달 폐 성장에 영향을 주는 인자(, 출생 시 몸무게)
외부 유해물질 흡연*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위험인자(간접흡연 포함)
직업성 분진 및 화학물질 직업성 노출 물질들(유기물, 무기물, 화학물질, 가스, 매연 등)
실내외 대기오염 나무, 동물 배설물, 석탄(땔감), 석유 연소물질(자동차 매연 등)
사회경제적 수준 빈곤(낮은 사회경제적 수준)
천식 및 기도과민성 천식환자의 COPD 발생위험도 12배 이상 증가
만성기관지염 많은 기도 분비물 -> 폐기능 저하
호흡기 감염(HIV감염, 결핵 등) 어린시절의 심한 호흡기 감염-> 성인에서의 폐기능 저하 및 호흡기 증상 발생과 연관
COPD 증상

-     만성적이고 진행성인 호흡곤란, 기침 및 가래

40세 이상 환자가 아래와 같은 지표가 있으면 COPD를 의심하고 폐활량측정법을 하여 진단한다.
이 지표들이 다수 있다면 COPD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호흡곤란 운동 시 심해짐. 움직이지 않으면 덜하나 없음
기침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함
가래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함
흡연 현재 또는 과거 흡연력
분진, 가스 노출력 직업력(분진 및 화학물질), 집안 연기(취사/난방)
COPD 가족력 특히 COPD의 형제력

 

-     COPD의심 환자에서의 병력 청취

-      흡연이나 직업력으로 분진 및 가스에 장기간 노출
-      천식, 알레르기 부비동염이나 비용종, 소아기의 호흡기 감염 기타 호흡기 질환의 과거 병력
-      COPD나 다른 만성 호흡기 질환의 가족 증상 발현양상: COPD는 보통 40세 이후에 발생한다. 환자 대부분은 병원 찾기 수년 전부터 호흡곤란이 증가하고, 활동이 줄어든다.
-      일상 생활에 미치는 영향: 활동 제약, 직장결근, 금전적문제, 정신적 압박감,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우울감이나 불안감, 성생활 감퇴
-      급성 악화 또는 호흡기 문제로 입원한 과거력
-      심장질환, 골다공증 근골격계 질환, 종양 등의 동반질환
-      환자에 대한 가족 지원 여부
COPD 약물치료

  치료목표

- 증상 완화

- 운동능력 향상

- 삶의 질 향상

- 질병진행 예방

- 급성악화 및 사망률 감소

  치료의 일반 접근방법
-
금연이 중요
-
약물요법
  >
환자의 반응과 선호도, 약제비, 동반질환, 부작용, 악화 위험, 증상의 중증도 등에 따라 개인화

>흡입기 사용 능력에 대한 정기적 평가

>예방접종(독감, 폐렴구균)
>
장기간 산소요법: 중증, 지속적, 만성적 저산소증 환자

  기관지확장제
-
기도 평활근의 긴장도를 변화시켜 폐기능 개선
-
증상완화, 운동능력 및 삶의 질 향상, 급성악화 감소에 도움
-
작용시간에 따라, 속효성(4-6시간) vs 지속성(24시간 이상)
-
β2 작용제, 항콜린제, methylxanthine

  대표약물 작용기전 부작용
β2 작용제 Salbutamol(=Albuterol, 속효성), indacaterol(24시간 지속성) β2 수용체 자극-> cAMP 증가, 기도평활근 수축 억제 - (안정시)빈맥, 심부정맥 악화
- 노인환자에서의 진전(tremor)
-속성내성(tachyphylaxis)->반응급강하 현상
항콜린제
(Short/Long- Acting Muscarinic Antagonist, SAMA/LAMA)
Ipratropium,tiotropium, aclidinium, umeclidinium
<
수용체 선택성>
속효성: M2, M3
지속성: M1, M3
기도 평활근 무스카린 수용체에서 acetylcholine 작용 방해 -> 기도 확장 - 구강 건조증, 배뇨장애, 급성 녹내장 악화
Methylxanthine Theophylline, aminophylline - 비선택적인 phosphodiesterase(PDE) 억제 -> cAMP, cGMP 증가 및 기도 평활근 이완
- Adenosine 수용체 길항작용 -> histamine, leukotriene 분비 억제
-
면역 조절 능력, 횡격막 근육의 수축증가, 점막 섬모의 청소율 증가

- 심혈관계 부작용, 약물상호작용, 약한 기관지 확장효과
->
약물농도모니터링(TDM) 및 맞춤화 약물요법 필요

 

>Theophylline 약물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약제 및 생리적 요인

테오필린 용량을 증가시켜야 되는 경우
(
청소율이 증가해서)
테오필린 용량을 감소시켜야 되는 경우
(
청소율이 감소해서)
-       흡연
-       항경련제(phenytoin, phenobarbital)
-       Rifampicin
-       Alcohol
-       소아환자(1~6)
-       마약 투여자
-       고령
-       동맥혈 저산소증(PaO2 ˂45mmHG)
-       호흡성 산증
-       울혈성 심부전
-       간경화증
-       Erythromycin
-       Quinolone 항생제
-       Cimetidine
-       바이러스 감염

 

  Steroids

흡입 스테로이드(ICS) -       폐기능이 정상예측치 60% 미만인 경우, ICS사용 추가
-       부작용: 구강 진균증, 쉰 목소리, 피부에 멍듬, 폐렴위험 증가, 결핵 발병위험 증가(고용량)
-       병합요법: ICS+LABA(+LAMA)
경구용 스테로이드(Oral Corticosteroid, OCS) -       장기간 사용시 근병증에 의한 호흡부전 위험
-       기회감염, 쿠싱 증후군, 당뇨병, 부신기능 부전
-       충분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지속되며 다른 선택약제가 없는 경우에만 사용가능(최소한의 용량 유지)

 

  Phosphodiesterase 4 (PDE4) 억제제
- Roflumilast
-
세포 내 cAMP 분해 억제 -> 항 염증 효과
-
단독사용 또는 흡입지속성 기관지확장제에 추가요법
-
부작용: 설사, 구역증상, 체중감소(가역적, 특히 비만 환자에서)

  기타 약물요법

예방접종 -       인플루엔자 백신(매년 10-12)
-       폐렴구균 백신
항생제 -       일부 약제에서 COPD 악화 감소 보고
-       장기적인 항생제 사용에 따른 부작용, 약제 내성 우려로 처방 권장 X
점액용해제와 항산화제 -       N-acetylcysteine, carbocysteine: 항산화 효과 -> ICS 미사용 환자에서 급성 악화 감소
-       실제 효과는 미미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권장 X
진해제 -       기침은 COPD환자의 증상이면서, 동시에 중요한 방어기전
-       안정한 환자에서의 정기적인 진해제 사용은 권장 X
혈관확장제 -       폐동맥고혈압의 치료 및 예방 목적으로 연구
-       오히려 COPD 환자의 저산소혈증을 악화시킴 -> 권고 X
마약(opioids) -       매우 심한 COPD환자의 호흡곤란 감소에 도움, but 심각한 이상반응 위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