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상적으로 묽은 변이 배출되는 것
묽은 변이 다량으로 배출되거나 배출의 빈도가 하루 3회 이상일 경우!
설사는 14일 이하로 나타나는 급성설사와 30일 초과하는 만성설사로 분류한다.
설사의 임상 증상!
급성 설사
물거나 수분기 많거나
복부 경련 및 압통, 대변 절박, 오심, 더부룩함 열 같은 증상이 있을 수 있다.
보통은 치료 처치 없어도 3~4일간만 지속되고 없어진다.
만성 설사
체중 감소와 쇠약이 나타날 수 있다.
탈수로 인해 배뇨가 감소되고 짙은 색의 소변, 점막 건조, 갈증 증가, 빈맥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설사의 병인
급성설사
감염에 의한 급성설사가 가장 흔하다!
일반적으로 급성 미열, 구토, 물변의 증상을 보인다.
비감염성 원인으로
약물과 독소, 오나화제 남용, 음식 불내성, 과민성대장증후군, 염증성 장질환이 있다.
만성설사
4주이상 지속,,, ㅠㅠ
대부분 기능성이거나 염증성장질환, 내분비계 질환, 흡수장애증후군 등으로 인해 나타남
물 대변이 매일 일어나지 않을 수 있으며, 설사는 간헐적이거나 지속적일 수 있음
여행자 설사
박테리아 혹은 독소가 오염된 물이 있는 지역
-> 익히거나 끓이거나, 껍질을 벗겨내서 먹고 안되면 먹지 않는 것이 좋다.
증상이 3~4일에서 1주간 지속
항생제 유발 설사
항생제에 노출 후 2주정도 뒤에 설사가 발생 -> 장내 정상세균총의 파괴에 의해 발생한다!
광범위 항생제 사용할 때 발생, 특히 병원에 입원하여 항생제를 사용하는 경우 많이 발생
설사 치료!
목표는 증상완화, 수분공급 유지, 내재된 원인치료 및 영양 유지이다!
비약물요법
충분한 수분과 전해질 보충
식이조절!
약물 요법
약물로는 항연동제, 흡착제와 팽창제, 분비 억제제, 정장제, 항균성지사제 등이 있다.
항연동제
장 통과시간을 연장시켜, 대변으로 손실되는 수분량을 줄이는 것이다!
급성 비감염성 설사의 증상을 완화하는데 효과적! 대부분의 만성설사 환자들에게 안전하다.
대표적으로 로프민 (loperamide)
아편유사수용체를 통해서 장근육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장의 연동운동과 장내 체류시간 연장을 저해함으로
배변량 감소, 변의 점도 증가, 수분 및 전해질 손실 감소, 항분비 작용등을 나타낸다!
처음 4mg 묽은 변이 있을 때마다 2mg을 추가 복용 16mg 이상 복용하지 않도록 함
정상적으로 1~2번 정도 대변을 보면 멈춰야 한다!!
계속해서 복용하면 변비가 발생!!!
졸음, 어지러움, 복부 팽만, 복통, 발진 등이 있을 수 있음
흡착제와 팽창제
스멕타!!! ㅎㅎ
물과 결합해 대변 형성을 강화하는 겔을 형성시키는 흡착제로 작용한다.
다른 약들과 투여시간을 조절해서 먹어야 한당
어떤 느낌이냐면 대장에서 막 빨아 들이는 거야 대변 형성을 강화해
근데 유해물들이 같이 달라 붙어,, 근데 약을 같이 복용하면 약물도 막 흡수해 블랙홀 같은 녀석이지
천연 점토로 마그네슘, 알루미늄, 철분 등 미네랄 함유하고 흡수!!
장내 유해물 흡착이 용이한 다공성 구조, 전신으로 흡수되지 않는다!!
분비억제제
비스무스!!~ (수렴제)
항 분비 효과와 항균 효과를 가진 것으로 생각되어 왔으며 급성설사의 치료에 사용
아스피린과 같은 살리실산염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에게 금기이다.
살균, 향균활성 작용과 박테리아가 위장의 점막 세포에 결합하여 성장하는 것을 방해한다.
변이나 혀가 검게 변할 수 있음을 환자에게 알려준다!!!
정장제 (유산균)
정상 미생물균층을 강화한다. 유익균을 보충해준다!!
면역반응을 자극하고 염증반응을 억제한다.
젖당 불내성에 의한 설사를 완화한다.
항균성지사제
급성 세균성 설사에 쓰인다.
경험적 항생제의 선택에서 1차 약물로 안전하게 쓰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일반의약품인 니푸록사지드
흡수되지 않고 설사의 원인균에만 살균효과를 나타낸다.
피부발진 알레르기 발생할 수도 있다.
정로환도 살균제로서 페놀, 구아이콜, 크레졸 등등,,,
발암의심물질로 문제가 되었으나 그대로 사용중
전문의약품으로
라세카도트릴 racecadotril
순수한 분비억제 지사제로 신체의 기초적 분비 기능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소장의 과도한 수분과 전해질 분비만 선택적으로 줄여줘서 신속히 증상을 완화한다.
비급여로 비싸다.. 로페라마이드보다 효과가 적고,, 변비 발진 홍반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약물치료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Dyslipidemia 이상지질혈증 (2) | 2021.07.12 |
---|---|
약을 통한 변비 극복 방법!!~ (0) | 2021.07.12 |
Arrhythmias 부정맥 치료 (1) | 2021.07.11 |
급성관상동맥증후군 (Acute coronary syndrome) ACS (0) | 2021.07.10 |
허혈성 심질환 (0) | 2021.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