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병
I. 역학
알츠하이머병(AD) (신경퇴행성 질환)
• 뇌세포의 점진적 파괴 à 인지능력, 행동, 정신기능 장애 à 치매
• 약물치료로 증상 경감 but 결국 사망(주로 폐렴에 의해)
• 발병에서 사망까지 대개 4~6년 (길게는 15~20년까지 갈 수 있다)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 질환
• 치매 환자의 약 50%는 AD가 원인
• 그 외 혈관성 치매, Lewy 소체에 의한 치매, 전두엽 측두엽 위축에 의한 치매
Cf) 엄격히 말하면 알츠하이머는 노년이 되기 전에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치매 ⊃ 알츠하이머)
노인성 치매(노망, senile type of Alzheimer),
분류
• Early-onset AD (조발성 치매) (familial AD, 5%) : 65세 이전 발병, 유전적 경향
• Late-onset AD (지연성 치매) : 65세 이후 발병
II. 병리와 병인
1. 유전적 요인
• Early-onset AD : 염색체(1, 14, 21번) 이상과 관련
Presenilin 1 (PS1, 염색체 14번 PSEN1 gene, γ-Secretase 역할) 또는
Presenilin 2 (PS2, 염색체 1번 PSEN2 gene, γ-Secretase 활성)의 변이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염색체 21번) : β-amyloid protein 전구 단백질 (Secretase에 의해 Aβ 생성)
• Late-onset AD : ApoE4(염색체 19번, 지질운반단백질, E2, E3, E4 allele을 가짐),
α2-microglobulin의 변이
ApoE4/E4 (AD에 걸릴 확률 60%, E3/E3의 17배), E4/E*(5배)
-> E4가 하나라도 있으면 위험성을 가짐
2. 환경적 요인 : 다양한 인자 관여
• 바이러스(뇌막감염), 두부외상, 과다 당분섭취, 무절제한 음주, 납노출 등
2대 특징
1) 신경반점(neuritic plaque, senile plaque) : beta-amyloid protein (Aβ)로 구성
-> APP에서 Secretase에 의해 Aβ 생성
2) 신경섬유 엉킴(neurofibrillary tangle, NFT) :
과인산화 tau 단백질 -> 대뇌 피질, 전두엽, 측두엽 구조, 기능 손상 유발 -> 인지기능, 정신기능 영향
(튜불린이 미세소관에 붙어있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단백질이 tau 단백질, 과인산화 시 미세소관에서 떨어져나와 자기들 끼리 뭉침)
뇌실의 부피가 커지고 기억력 관련부분(hippocampus)이 쪼그라들어있다..
3. 구조적 변화 : 신경반점(AP), 신경섬유엉킴(NFT) à 타겟약물 아직 성공x
1) 대뇌피질(전두부, 측두부, 후두부 전반) 변성과 위축
2) 학습 및 기억 관장 중추 신경세포 내부에 NFT 발생
• Microtubule : 신경세포체와 축삭 말단 사이의 물질 수송
• Tau 단백질 : tubulin 분자들을 microtubule 구조 내에 고정 역할
• 과다 인산화 tau 단백질 à paired helical filament (섬유다발처럼 뭉쳐진) 구성 à NFT 형성
• Aβ가 acetylcholine 수용체와 결합 à tau 과다 인산화 유발 가능성
3) Neuron 외부에 신경반점(노인성 반점, senile plaque) 축적
4. 콜린성 신경계 변화
• 전뇌(forebrain)의 기저부부터시작 (nucleus basalis of Meynert)에 현저한 손상(신경세포체가 위치)
Ach 부족 유발(Ach 매개 신호 감소)
5. 염증매개인자의 변화
• 신경반점 주변에서 염증매개인자 및 free radical, pro-inflammatory cytokine 증가 관찰, 면역계도 관여
• NSAID 규칙적 복용이 AD에 걸릴 확률 감소 역학조사 보고(논란)
6. 다른 신경전달물질의 변화
• Raphe nuclei의 세로토닌 신경과 locus ceruleus의 NE 신경소실, MAOB활성 증가
• Glu 신경전달과정 교란 à NMDA 수용체 과잉자극 à 칼슘 유입/free radical 축적 à 신경손상 유발 à 인지능 손상 및 AD 병인에 기여
7. 뇌혈관질환
• 고지혈증으로 인한 뇌혈관질환/뇌경색(피떡생성) à 혈액과 영양공급 감소 à 뇌세포 손상
• ApoE 과발현 시 뇌조직에 지질단백 과량 유입 à 뇌혈관질환 유발, Aβ 축적 신경반점 증가
8. Estrogen
• 발달 단계에서 신경세포 성장 촉진, 성인 뇌에서 해마 시냅스 형성 촉진, 뇌손상에 대한 보호작용
• Forebrain(전뇌) cholinergic 신경과 estrogen 수용체 발현 신경의 분포 일치
• 폐경기 이후 ERT(estrogen replacement therapy) à AD 위험 감소(논란)
• 혈전생성촉진으로 인한 MI / 뇌졸중 증가 위험
IV. 진단 기준
임상적 증상에 의존
병력 청취
간이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MMSE)
• 총 30점 중 26점 이하 à AD로 진단
CT, MRI : 주로 다른 질병과 감별진단용
전혈구 검사, 전해질 검사, 간기능검사, 갑상성기능검사, 비타민 B12 수치 검사 등
-> AD의 원인 추정 목적
PS1, PS2, APP genotyping 등 AD 관련 유전자 검사
V. 약물치료
치료목표 : 인지능력과 운동능력 보존, 행동장애 예방
치료의 일반적 접근방법
• 인지재활치료와 약물요법
• 초기 AD는 cholinesterase 저해제 치료 시작, 증등도 이상 memantine 추가
• 정신기능장애(우울증, 괴상한 행동, 망상, 환각 등) à 항우울제와 항정신병약 사용
비약물요법
• 인지재활치료
인지훈련
일상생활훈련
운동치료 : 유산소 훈련 à 심폐기능과 인지기능 증진 효과
과거회상요법
² Rivastigmine patch (중요)
Transdermal administration
효능효과 : 알츠하이머형 치매(경증-중등도-중증), 파킨슨병 관련 치매(경증-중등도)의 대증적 치료
용법용량 : 1일 1회 1매씩 부착, 24시간 후 새 패치
'약물치료학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전증 (epilepsy)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2.23 |
---|---|
바이러스성 간염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2.22 |
간경변증과 합병증 (0) | 2022.02.15 |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10.11 |
항암 후의 역하고 구토 유발은 어떻게 제어할가? (0) | 2021.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