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19

2011년 PEET 유기화학 14번

ㄱ. TsOH는 강한 산이다. 이 물질이 강한 산이라는 것을 몰랐다면 틀리기 쉬웠을것,, 강산을 주고 반응물은 반응이 일어날 곳은 OH밖에 안보이는 상황에서 선택지는 탈수밖에 없다. ㄴ. isopropyl기를 적도방향에 두고 반응물을 그려본다. 시약이 강한 염기이자 강한 친핵체이므로 Sn2 E2를 둘다 고려해야한다. 반응물이 2차 탄소이므로 생성물은 E2반응이 우세할 것이다. E2반응은 안티 베타 수소 제거 반응을 꼭 지켜야 한다. 이때 수소는 두개가 선택될 수 있는데 자이제프 규칙 치환기가 더 생성될 수 잇는 생성물을 선택해야 한다. 고로 ㄴ은 틀렸다. ㄷ. 브롬산 자체가 pKa가 매우 낮은 강산이다. OH에 수소가 붙고 이탈하여 탄소양이온을 형성할 것이다. 이때 자리이동이 일어나고 탄소양이온은 치환기..

2011년 PEET 유기화학 13번

두개의 벤젠이 친전자성 치환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경쟁하고 있다. 브롬이 두개의 벤젠에 들어가는데 어디를 들어갈지 선택! 선택된 벤젠에서 어디 들어갈지 선택! 이것을 바탕으로 생성물을 추측하는 것이다. MeO는 강한 EDG이고 카보닐의 경우 EWG이다. 반응을 경쟁하는 측면에서 친전자성 치환반응의 경우 친전자성이 자체가 전자가 풍부한 쪽에 반응이 일어난다는 의미이다. 왜냐하면 친전자성 치환반응 중간에 탄소양이온이 생성이 되는데 이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전자가 풍부한 상황이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 고로 왼쪽 선택 MeO는 EDG이므로 ortho para 지향을 가지고 있고 파라는 들어갈수없으므로 오르쏘 쪽으로 들어간다. 5번 선택!

2011년 PEET 유기화학 11번

ㄱ. 결과물이 OH가 안티로 두개 들어간 형태로 나왔다. 즉 O가 두번 들어가야한다는 뜻 두번째 반응 물질이 히드로니움 이온,, A에는 산소가 들어간 형태가 나와야한다. 보기를 보면 Cl2/H20는 염소와 OH가 들어간 생성물이 생성될 것이다. 이후 H30와 반응하면 탈수반응이 일어나지 염소가 제거되는 방향쪽으로 반응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산소가 세개들어있는 화합물 대표적으로 mCPBA가 잇다. 이 물질은 이중결합과 산소를 통해 삼각형을 이루게 된다. 이후 H30와 반응을 하면 안티관계의 OH가 두개 생성될 것이다. ㄴ. 03 이후에 환원성 시약인 Me2S는 이중결합이 절단되고 카보닐기를 만드는 대표적인 반응이다. ㄷ. 수은을 이용한 첨가반응은 마르코니코프 규칙을 따라 OH가 치환기가 많은 쪽으로 들..

2011년 PEET 유기화학 8번

ㄱ. 3차탄소에 브롬이라는 좋은 이탈기가 있다. 시약으로는 강한 염기이자 강한 친핵체인 CH3ONa 이때 3차 탄소라는 점에서 Sn2를 제외해야 한다. 3차 탄소는 백사이드 어택이 안된다. 탄소양이온이 형성되어 반응이 일어나는 방향으로 가거나, 아니면 제거반응이 일어나는 쪽으로 이뤄저야한다. 여기서는 강한 염기이자 강한 친핵체가 시약으로 작용했으므로 Sn2가 안되므로 E2반응 쪽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ㄴ. H2S04에 가열 -> 이 조건 자체가 탈수반응 조건이다. H2SO4 조건 하나만 주어도 탈수인것을 알아야 한다. 이후 HBr을 첨가하여 마르코니코프 규칙에 따른 첨가반응이 일어난다. ㄷ. NBS 와 빛이라는 조건에서 생성물이 생성된다. (이건 과정 알아야함) (CH3)2CuLi는 브롬과 메틸기를 바꿔..

2011년 PEET 유기화학 5번

ㄱ. 분자내 탄소-탄소 단일 결합의 경우 혼성의 종류에 따라 결합 길이가 다르다. 이중결합이 있는 탄소는 sp2 단일결합에 잇는 탄소는 sp3이다. sp2-sp3와 sp3-sp3간의 단일결합의 길이는 차이가 있고 sp3-sp3 결합길이가 더 길다. ㄴ. 기하 이성질체는 입체이성질체인데 cis trans 관계가 형성되야지 기하이성질체가 있다고 말할수 있다. myrcene는 cis trans 관계를 가질수 없는 물질이다. 이중결합 한쪽에 동일기 (수소또는 메틸기)가 있기 때문에 시스 트랜스 가질수없다. ㄷ. 이중결합이 전부 단일결합으로 되었을 경우 카이랄 중심이 존재한다. 그림에 표시해두었다.

2011년 PEET 유기화학 4번

ㄱ. 3가지 물질 전부 분자식이 같은 구조 이성질체 관계에 있다. ㄴ. 끓는점 비교는 분자간 결합을 비교하는 것과 같다. 세가지 물질 모두 비극성 물질로 반데르발스 힘만을 비교하면 된다. 이때 표면적이 넓어야 상호작용이 많고 서로 붙어있으려고 한다. N-펜테인이 가장 표면적이 넓고 끓는점이 높다. 구에 가까울수록 끓는점이 낮다. ㄷ. 그림에 표시해 두었다. 4차탄소 존재한다.

2011년 PEET 유기화학 2번

산의 세기를 비교하는 문제는 짝염기의 안정도를 비교하는 문제로 볼 수 있다. 강산일수록 짝염기는 안정하다. ㄱ. 짝염기를 보았을때 공명 안정화가 더 잘 이루어진다. -> 더 강산이다. ㄴ. 알켄과 알카인의 pKa 는 외우고 있었어야 한다. 안외워도 풀 수 있지만 이 정도는 외워야한다. 알켄은 44 알카인은 25 ㄷ. 염소는 EWG이지만 유도효과에 의한 약한 EWG이고 NO2의 경우는 공명으로 인한 강한 EWG이다. 짝염기 산소음이온을 안정화시키는 것은 NO2이다.

약물치료학 고혈압 공부

고혈압 고혈압이란 동맥 내 압력이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를 말한다. 혈압은 심박출량 x 말초저항 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래서 고혈압은 심박출량이 증가하거나 말초저항의 증가로 인해 발생한다. 개별 원인으로 나타내면 나트륨 저류, 교감신경계 활성화, RAAS 활성화로 나타낼 수 있다. 고혈압 원인 고혈압의 원인은 알려진 것과 원인이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나누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본태성 고혈압이다. (90~95%차지) 고혈압 약물치료 환자에 따라 목표 혈압이 다르다. 일반적인 목표는 140/90 mmHg 이하 심뇌혈관, 관상동맥질환 동반할 경우 140/90 이하 노인성 고혈압은 80세를 전후로 다르다. 80세 미만인 경우 140/90 이하 80세 이상인 경우 150/90 이상 고혈압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