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고양이도 심장사상충에 감염이 된다. 중증은 드물고 혈액 중 자충 관찰은 잘 안된다.
-고양이는 성충이 되지 않아도 증상이 나타남, 급사하는 경우도 있다.
고양이의 폐혈관이 아주 좁기 때문에 심장사상충으로 인한 면역반응으로 혈관의 증식, 대식세포의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 폐혈관이 좁아져 색전증이 유발된다. -> 매우 치명적!!
-HARD
-> 심장 사상충에 의해 나타나는 호흡기 증상
- 고양이도 심장사상충 예방을 해야 한다.
- 항체 진단 키트로 검사해야 한다. 개 심장사상충 검사 키트로 하면 안됨
-고양이 심장 사상충 예방약
이버멕틴, 셀레멕틴, 밀베마이신
밀베마이신은 고양이에서의 용량이 개보다 4배가 더 높다.
- 6주령부터 투약이 가능
도포부위에 탈모나 구토 경련을 일으킬 수 있다.
스팟온 제형의 구토 부작용은 경구에 비해 적다.
스팟온 제형 안에 있는 이소프로필알코올의 피부자극으로 이한 발적, 탈모 있을 수 있다.
'동물약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개 심장사상충 예방약 알아보자! (0) | 2021.08.09 |
|---|---|
| 반려동물 귓병 연고제 (오리모덤, 오리더밀) (0) | 2021.08.08 |
| 동물에 사용하는 외용제!! (알러스프레이, 핑크스킨) (0) | 2021.08.07 |
| 동물 외부 기생충 구제 약품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8.06 |
| 개 고양이의 먹는 구충제 알아보기 (파나쿠어, 드론탈플러스) (0) | 2021.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