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공부

역류성 식도염 (GERD)에 대해 알아보자

unitypharm 2021. 9. 7. 18:42
728x90

치료목표                                                                                                                
1)     증상을 없애거나 완화
2)     미란성 식도염이 있는경우 점막병변 치유
3)     증상 재발 감소
4)     식도협착, 바렛식도, 식도선암 등 합병증 발생 예방
 
 
치료의 일반적 접근방법
1)     GERD발생 병태생리기전 교정
-       일과성 하부식도괄약근 이완 빈도 감소, 식도 산 청소능 개선
-       생활습관 변경, 위장운동촉진제와 같은 약물요법, 수술적 치료 및 내시경적 시술
2)     위내 산도 중화, 산 분비 억제(위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되더라도 식도점막 자극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방법)
-       산 분비억제제, 제산제 사용
-       장기간 치료 필요
 
비약물요법
1)     생활습관 변경
-       임상근거 부족, 일과성 하부식도괄약근 이완 방지 목표
-       비만 연구 활발: BMI증가, 복부비만과 역류증상 빈도는 용량의존적 상관관계 있으나 체중감소가 직접적 증상 개선 근거는 불명확
-       생활습관 변경이 치료의 효과에 대한 의학적 입증 불충분
-       일부 환자에서 식이, 생활습관 조절이 증상완화 및 재발방지 도움 가능하므로 치료와 더불어 생활습관 변경  유지권유

2)     항역류 수술
-       장기간 위산분비억제제 치료가 필요하거나 위산분비억제제로 증상이 조절되지 않는 환자에 시행

3)     내시경 시술
-       두가지 방법 있으나 장기간 치료성과 자료는 아직 부족

4)     약물요법
-       약물치료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요인: 산 억제 정도, 24시간 산 억제 기간, 치료기간
-       효과적인 위산 억제 기준: 위의 pH>4 유지
-        
GERD에 사용되는 약물
-       양성자펌프 억제제
-       히스타민수용체 길항제
-       제산제
-       위장운동촉진제: 콜린성 효능제, 도파민 길항제, 세로토닌수용체 효능제
-       점막보호제
-       기타치료제(하부식도괄약근 작용제, 항우울제, 항불안제)
 
GERD에 사용되는 약물요법
-       초기치료: 미란성 식도염은 표준용량 PPI 11회 최소 4-8주간 투여
-        비미란성 역류질환은 최소 4주간 지속적 PPI 투여
(표준용량- omeprazole 20mg, lansoprazole 30mg, pantoprazole 40mg, rabeprazole 20mg, esomeprazole 40mg)
-       심한 식도염 및 기타 치료: 심한 식도염 환자의 경우 표준용량 PPI 8주 이상 필요
-       다른 약물 표준용량 

GERD 장기치료
-       장기간 지속 시 식도협착, 바렛식도 합병증 발생, 식도 선암 위험 증가 재발방지 및 장기간 치료 필요
-       약물유지요법, 간헐적 요구 약물요법, 항역류수술, 내시경적 시술 등
-       산분비 억제제 유지요법 (PPIH2RA, 위장운동촉진제보다 치료효과 우수 비용효과적 유지요법에 선호)
-       최소용량 투여가 바람직, 투여방법은 지속적, 간헐적, 증상에 따라 필요시 투여
-       매일 지속투여법이 필요시 투여법보다 식도염 재발 예방과 가슴쓰림 증상 억제에 더 효과적
종류 약물명 작용 부작용 기타
PPI Omeprazole 양성자펌프 억제 두통, 설사, 변비, 복통 H2RA보다 우수치료효과
미란성, 비미란성 역류질환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약물
가장 비용 효과적 약물
8주 투여 시 증상 호전율 83%, 내시경적 병변 치료율 78%
 
Lansoprazole
Pantoprazole
Rabeprazole
esomeprazole
H2RA Cimetidine 히스타민
수용체 길항
두통, 설사, 어지러움, 피로, 혼동 PPI에 비해 치료효과↓, 가슴 쓰림 등 전반적 증상에 효과
비미란성 역류질환 치료에는 위약과 비교시 유의한 차이 X
지속적 투여로 약효 감소(약제 내성)발생간헐적투여가 효과
간헐적 가슴쓰림, 식후 유발 위식도 역류증상에 필요요법
Ranitidine 150mg 12회 또는 300mg
11회 투여(GERD 장기치료)
Famotidine
Niziatidine
ranitidine
위장운동촉진제 Metoclopramide 도파민 길항 심각한 추체외로 이상  
하부식도 괄약근 압력을 높이고, 산 청소능과 위 배출 향상
역류증상 개선
일과성 하부식도괄약근 이완 조절작용 X
산분비억제제와 함께 사용 일부환자에서 도움
 
Domperidone 프로락틴 상승에 의한 유즙분비 유발
Itopride D2, ACH E 억제
 
 
Levosulpiride 선택적D2 길항
mosapride 5-HT수용체 효능제
점막보호제 sucralfate      
Rebamipide     미란성식도염 환자에 PPI 병합치료시 항염작용 식도염 호전
GERD 유지요법에서 rebamipidelansoprazole 병합투여가
Lansoprazole 단독투여 보다 증상 재발 감소
비미란성 역류환자에서 위약과 유사 효과
하부식도
괄약근 작용제
baclofen GABAB수용체
 작용제
중추신경계(어지러움, 졸림) 부작용 일과성 하부식도 괄약근 이완 억제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