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치료학 공부

약물치료학 고혈압 공부

unitypharm 2021. 7. 7. 15:48
728x90

 

고혈압

고혈압이란 동맥 내 압력이 지속적으로 높은 상태를 말한다.

 

혈압은 심박출량 x 말초저항 으로 나타낼 수 있다.

 

그래서 고혈압은 심박출량이 증가하거나 말초저항의 증가로 인해 발생한다.

개별 원인으로 나타내면 나트륨 저류, 교감신경계 활성화, RAAS 활성화로 나타낼 수 있다.

 

고혈압 원인

 

고혈압의 원인은 알려진 것과 원인이 알려지지 않은 것으로 나누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본태성 고혈압이다. (90~95%차지)

 

 

고혈압 약물치료

 

환자에 따라 목표 혈압이 다르다.

 

일반적인 목표는 140/90 mmHg 이하

심뇌혈관, 관상동맥질환 동반할 경우 140/90 이하

 

노인성 고혈압은 80세를 전후로 다르다.

80세 미만인 경우 140/90 이하

80세 이상인 경우 150/90 이상

 

고혈압 전단계로 분류될 경우 적극적인 생활습관 개선으로 충분히 나아질 수 있다.

생활습관개선방법으로 체중감량, 식사조절(DASH 식단), 소금섭취제한, 운동, 절주 등이 있다.

DASH 식단 : 과일, 채소 저지방 유제품 섭취 권장, 지방함유 제품은 섭취 제한!

 

이뇨제

 

신장에서 여분의 나트륨 및 수분 배설을 도와 말초혈관저항을 지속적으로 감소시켜

혈압저하효과를 나타낸다.

 

부작용

저칼륨혈증, 저마그네슘혈증, 고칼슘혈증, 고혈당증, 고요산혈증, 지질대사장애 등이 있다.

이중 전해질 불균형과 과도한 이뇨로 인한 저체액량 등이 가장 주의를 해야한다.

 

고혈당증, 지질대사장애가 있으므로 당뇨나 고지혈증이 있으신 분들은 주의를 해야한다.

 

이뇨제 중 LOOP 이뇨제는 칼륨 배설을 억제하여 고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고

이는 신부전 환자에게 위험!

루프 이뇨제중 스피로노락톤은 고용량에서 여성형 유방을 유발하기도 한다.( 탈모약으로 쓰는사람도 있다..)

 

loop 이뇨제는 thiazide에 반응하지 않는 만성 콩팥병 환자, 심부전 환자, 부종이 심한 환자에 사용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

 

ACE의 작용을 억제하여 안지오텐신2 생성 및 알도스테론 분비를 감소시킨다.

-> 혈관 확장으로 혈압 강하

 

부작용

마른기침(ARB와의 차이점), 급성신부전, 고칼륨혈증, 피부발진, 혈관부종 등

임신 중 사용시 최기형성 위험이 있다.

 

노인, 만성콩팥질환, 체액이 고갈된 환자, 이뇨제 복용환자, 심부전이 악화된 환자

-> 저용량 (절반) 사용

 

~pril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ARB)

 

안지오텐신2 수용체 차단하여 안지오텐신 매개성 혈관 수축 및 알도스테론 분비 억제

저용량의 이뇨제와 함께 투여시 효과가 증가!

 

부작용

급성신부전, 고칼륨혈증, 기립성 저혈압

임신 중 사용시 최기형성 위험!

 

제일 많이 사용되는 고혈압 약 중 하나

~sartan이라는 약들이 ARB에 속한다.

 

칼슘통로차단제 (CCB)

 

칼슘채널을 차단하여 심근과 평활근에 칼슘유입을 억제하여 관상과 말초혈관을 확장시킴

 

 

칼슘통로차단제는 두가지로 나뉘는데

non-dihydropyridine과 dihydropyridine으로 나뉨

 

non-dihydropyridine

심박동 감소효과로 심박세동 및 심실성 빈맥치료제로 사용

부작용으로 심부전 악화, 식욕부진, 메스꺼움, 말초부종, 저혈압 등이 있다.

 

CYP3A4 억제 작용이 있어

cyclosporine, digoxin, theophylline 등과 같이 이 효소에 의해 대사되는 약물들과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dihydropyridine 제제

수축기 단독 고혈압을 가진 노인들에 있어서 심혈관질환 예방 효과가 크고

심박수를 낮추는 효과는 없으나 혈관 확장 효과가 있어 반사빈맥을 유발할 수 있다.

주요 부작용으로 어지러움, 두통, 홍조, 말초부종이 있다.

->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강하시키는 작용에 의한 부작용으로 홍조, 어지러움 등 이런 부작용이 따라오는 것

 

베타 차단제

심근의 수축력과 심박수 감소로 심박출량을 감소시키고 혈압을 강하시킨다.

베타 차단제들 간에 심장 선택성, 내인성 교감자극작용, 지용성에 차이가 있다.

 

내인성 교감자극작용을 갖는 약물들 (acebutolol, carteolol, penbutolol, pindolol)은

갖지 않는 약물들에 비해 심혈관질환 예방효과가 감소한다.

지용성 제제(propranolol)의 경우 수용성 제제 (atenolol)에 비해

중추신경질환(편두통 예방, 수전증, 갑상선 중독증) 적응증을 가지는 반면,

중추신경계 부작용인 악몽, 우울증, 기면, 정신 착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베타차단제 주요 부작용

서맥, 심차단, 급성 신부전, 인슐린 감수성 저하, 이상지질혈증, 성기능 부전, 저혈당 증상 은폐

전도차단의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휴지기 심박수를 분당 60회 이상으로 유지할 것을 권장

급작스럽게 베타차단제 복용을 중단 했을 시 반동성 고혈압이 발생할 수 있다.

심한 경우 협심증, 급성심근경색,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

1~2주에 걸쳐 용량을 감소하다가 중단하여야 함

 

특수한 상황에서의 고혈압
1.     임신성 고혈압과 여성환
  경구용 피임약 사용이 혈압을 증가시킬 수 있음
  임신부에서 흔히 사용되는 항고혈압제: methyldopa(국내에서 X), hydralazine, β-blocker (+CCB)
  전자간증
- 임신 20주 후부터 발생 고혈압+단백뇨
- 고혈압성 응급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음
- 치료: hydralazine, labetalol(정맥제제), 속방형 nifedipine

2.     노인 환자
  연령 비례 수축기 혈압 증가 수축기단독 고혈압
  약물치료
- 1
차 치료: (thiazide) 이뇨제

- 2차 치료: ACEI, ARB, CCB
- β-blocker: 적응증이 있는 환자에서 thiazide 이뇨제와 병용
- 성인용량의 최소용량으로 시작하여 천천히 증량

3.     당뇨병을 동반한 고혈압 환자
  당뇨병 환자의 고혈압은 심혈관 질환 및 미세혈관합병증의 중요한 위험인자
  목표 혈압(국내지침): 140/90mmHg
  1차 권고약물: ACEI 또는 ARB
  병용요법: ACEI 또는 ARB, CCB, 이뇨제